행복한 인생의 세 가지 조건 - 1000가지 죽음이 가르쳐준
오츠 슈이치 지음, 박선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누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잖아요.
하지만 정작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그런데 우리들은 행복을 찾으려고만 하지 정작 행복이 무엇인지 잘 모르고 있는 것 같기도 해요.
치르치르와 미치르가 세상의 끝까지 가서라도 찾고자 했던 파랑새가 바로 자신들이 집에서 키우고 있던 새였다는 것을 모른체 그토록 많은 시간을 헤매고 다녔던 것처럼 말이죠.
어쩌면 우리들도 지금 자신이 행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잡을 수 없는 다른 사람의 행복을 찾으려고 하는 건 아닌지 한 번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더구나 어쩌면 생의 가장 마지막 순간에 더욱 더 자신의 인생을 돌아다보고 진정 행복했는지 불행했는지 후회를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정작 죽음이 있기에 삶이 있는 것처럼 바로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에게서 듣는 삶의 이야기.
어떻게 보면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누구는 행복했다고 회상하고 또 누군가는 불행했다고 회상하는 걸까요?
그런 차이를 알 수 있다면 인생의 마지막에서 후회하지 않고 행복한 조건을 따라서 살면 되는 거겠죠.
하지만 우리들은 그런 조건들을 직접 찾기에는 여러 시행착오를 겪을 수 밖에 없고 어쩌면 진리를 찾을 수도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인생을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행복해지는 비결을 찾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행복이라는 것이 단 세 가지만 있으면 되는 걸까요?
도대체 그 세 가지는 무엇인지 궁금해지네요.
사실 행복은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이지만 저자는 죽음을 앞둔 환자들을 통해서 아이러니하게도 행복의 비밀을 찾았다고 하네요.
후회 없이 죽음 맞이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그것은 바로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줄이는 것. 오늘을 인생의 마지막처럼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살 것. 마지막으로 자신의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하네요.
물론 때로는 정말이지 인생이 힘들고 원망스러울 때도 있겠죠.
하지만 그렇다고 좌절하고 원망만 할 것이 아니라 힘든 시기에도 자신이 할 일을 최선을 다하고 정말이지 자신에게 후회가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더 낫지 않겠어요.
행복은 바로 자신의 마음 속에 담겨 있는 것 같아요.
그것을 이제 발견해보자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