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사생활 - 우리 집 개는 무슨 생각을 할까?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지음, 구세희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생활? 중요하죠~
대중의 인기를 먹고 사는 연예인들도 행동 하나하나가 관심의 대상이지만 그러다보면 자칫 사생활까지 침범하게 되는데, 공인이라고 해서 어느정도의 사생활은 대중에게 알려져도 되지만 모든 사생활이 다 공개되어야 되는 건 아니겠죠.
부모와 자식간에도 지켜야 하는 사생활이 있고,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주인의 사랑을 받는 애완동물인 개에게도 나름의 사생활은 존중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뭐~ 한 순간도 떨어지기 싫다거나, 한 가족이나 마찬가지라서 모든 것을 다 알아야지 하는 건 어떻게 보면 개의 입장이 아닌 인간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건 아닐까요?
너무 사생활을 구속하다보면 개도 자유를 달라~ 이러면서 혹시 가출하는 건 아닐까요?
길을 가다보면 가출한(?)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습니다 라는 전단지를 가끔 볼 수 있는데, 혹시?
개가 인간과 살기 시작한게 역사적으로 보면 1만년이 훨씬 넘는다고 하네요.
특히나 인간과 함께 지내온 가장 오래된 가축으로서 지금 우리들의 삶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잖아요.
애완개로서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해주기도 하고, 군용견이나 마약탐지견 또는 구조견으로 사람의 생명을 지켜주고 있잖아요.
그런데 우리들은 이처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온 개에 대해서 과연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인간의 시각에서 보는 개의 모습이 아니라, 개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개의 모습.
즉, 과학적으로 개를 바라본다면 그동안 우리들이 알고 있었던 것들 중에서 오류가 많을 것 같아요.
요즘은 그래서 개를 이해하고 소통하고 싶어하는 욕구때문에 개가 짖는 소리를 사람의 말로 변환해주거나 문자로 보여주는 기계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처럼 인간과 개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그 첫 번째 단계로서 개가 우리와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여야겠죠.
많은 사람들이 개를 애완동물이 아니라 자신의 가족처럼 소중하게 여기다보면 개를 개가 아니라 사람처럼 생각해버리는 오류를 범하기 쉽잖아요.
그리고 어떻게 늑대가 개가 되었는지, 사람들의 집으로 들어와서 진화한 개에 대한 이야기.
후각이 발달해서 냄새로 사물을 보고, 엉덩이로 소통하고, 개가 바라보는 세상은 우리와는 다른 세상이라는 걸.
무엇이든지 아는만큼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거겠죠.
개에 대해서 알 때 비로소 진정 마음을 나눌 수 있지 않을까요?
태고적부터 시작된 개와 인간의 만남.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고, 행복하게 함께 살 수 있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