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 Zone
차동엽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언제부터 바보에 주목하게 되었을까요?
바보라고 하면 남을 업신여기거나 놀릴 때 쓰는 말이잖아요.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스스로 바보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도대체 바보에 무슨 매력이 있길래 사람들이 바보가 되기를 자청하고 또 바보처럼 세상을 살아가려고 하는 건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네요.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그동안 우리가 몰라던 바보가 가진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되는 것 같아요.
애플사의 스티브 잡스가 대학 졸업축사에서 했던 말 중에 stay foolish.
이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이미 세계에서는 이런 바보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하고 또한 그것이 이전의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요.
과거의 목적 추구가 아닌 목적 발견의 시대.
그것은 지금의 고정관념이나 편견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오직 바보가 가진 무한한 상상력과 꿈에서만 새로운 가치들이 발견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누구나 저마다의 바보를 마음 속에 담아두고 있을 거에요.
이제는 그 바보를 깨우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그 바보가 우리를 변화시키고 또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을 펼쳐 보일 수 있도록 이제 바보를 깨워보자구요.
그 방법으로 12가지 원리를 이야기 하고 있는데, 그것을 바보 블루칩이라고 명명해요.
얼핏보면 정말 바보같은 짓 12가지인 것 같지만 지금까지의 상식을 깨고 다른 사람들의 눈치를 보느라 마음껏 자신의 꿈을 펼치지 못한 것들을 이제는 마음껏 소리칠 수 있는 자유야말로 멋진 일이 아닐까요?
그동안 우리들은 어쩌면 짜여진 틀 속에서 벗어나면 안되는 일종의 강박관념에 생각자체도 더 이상 상상의 나래를 펴지 못한 것 같기도 해요.
이제는 바보처럼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펴보자구요.
이제 세상은 바보들의 세상이 될테니까 말이죠.
그리고 누구나 자신 안에 있는 바보를 깨울 수 있고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
정말 꿈 같은 이야기네요.
하지만 아직은 이런 바보철학에 익숙해지려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리겠죠.
그러나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정말 위대한 바보들이 많은 것 같아요.
2002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다나카 고이치처럼 이제는 바보들에게 관심을 가져야할 때가 온 것 같아요.
어쩌면 우리가 그들의 능력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보로 보고 있는지도 모르죠.
정말 바보는 바로 우리들 자신일지도 모르겠네요.
바보 블루칩.
이제는 세로운 세상을 이끌어 나갈 키워드로 바보라는 말이 낯설지 않게 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