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변호사 - 붉은 집 살인사건 어둠의 변호사 시리즈 1
도진기 지음 / 들녘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변호사라고 하면 왠지 이미지가 별로 안 좋은 것 같아요.
영화에서도 정의를 수호하는 검사에 대응하는 인물로 악을 변호하는 변호사를 나쁜 이미지로 종종 보여주잖아요.
수임료만 내면 범죄자를 풀어주기 위해서 그 어떤 나쁜, 변호사이지만 교묘하게 법을 이용해서 법을 따르는 사람들을 바보로 만들어버리는 그런 사람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어둠의 변호사라는 제목을 봐도 그리 거부감이 들지 않고 오히려 또 어떤 사건을 변호하려고 하는지 궁금증을 자아내게 하는 것 같아요.
어둠의 변호사가 시리즈로 나온다고 하는데 아마 이 "붉은 집 살인사건"이 그 시작인 것 같아요.
어둠의 변호사로 나오는 사람은 고진이라는 사람이고, 이와 반대로 정의를 수호하려고 하는 강력계 형사로 이유현이 나오죠.
이처럼 대립되는 두 사람이 어떤 사건을 파헤쳐나가면서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특히나 요즘은 미드의 영향도 있지만 일선 수사관들보다 더 독자들이 과학 수사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있을 것 같아요.
사건은 서울 외곽의 언덕 위의 붉은 집에서 계속되어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그 사건은 당연히 미궁속으로 점점 빠져들게 되죠.
사실 추리소설이라는 것이 굉장히 잘 구성하지 않으면 엉성한 이야기가 되어버리게 되는데 이 시리즈는 작가의 이력이 무척이나 독특한 것 같아요.
어쩌면 현직판사라는 이력이 이런 사건들에 대한 통찰력과 탄탄한 이야기 구조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어요.
물론 사건은 집안의 유산 상속 때문에 벌어지는 살인사건이라 조금은 식상할 수 있는 소재이지만 그래도 이런 사건을 가지고 멋진 추리소설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작가의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되겠죠.
추리소설분야에서 조금은 한국의 추리소설이 독자들에게 그만큼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었던 면이 있는데 이번 기회에 어둠의 변호사라는 시리즈가 셜록홈즈나 존 그리샴의 소설 같은 멋진 작품이 되기를 기대해보게 되네요.
이 작품을 다 읽고 나서 바로 그 다음에 나온 시리즈물인 "라 트라비아타의 초상"을 읽고 싶어지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책에 보면 결말을 보지 못하도록 봉인을 했는데 아마 읽다보면 결말이 너무 궁금해서 막 뜯어버리고 싶어질지도 모르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