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한 회계학
하야시 아쓰무 지음, 오시연 옮김, 김성균 감수 / KD Books(케이디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제목이 참 도전적이네요.
사실 회계학이라고 하면 온통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는 숫자들 때문에 어려운 학문이잖아요.
그런데 어떻게 회계학을 만만하다고 할 수 궁금하기도 하고 사실 회계라는 것이 어떤 특정한 사람들만 쓰는 것 같지만 살아가다보면 어쩔 수 없이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는 것 같아요.
우리들이 알게 모르게 말이죠.
예를 들어 가계부를 적는다고 해도 수입이 있고 지출이 있으니 당연히 자산과 부채, 이익 등으로 나뉠 수 있는 거잖아요.
뭐든지 어렵게 생각하면 한없이 어렵지만 일단 한 번 부딪쳐보자구요.
회계라는 것을 모르면 물론 안 봐도 되겠지만 글쎄요? 아마도 모든 사람들이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회계에서 대차대조표나 손익계산서 같은 것은 배웠지만 실상 회사의 회계부서에서 일하지 않는 이상 우리가 이런 양식을 볼 기회도 없고 설사 본다고 해도 많은 숫자들 사이에서 어떤 의미를 찾는 것은 힘들 것 같아요.
물론 회계를 통해서 자격증을 딴다던지 회계에 관련된 일을 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는 것이 힘이라고 모르면 손해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읽다 보니 회계가 정말 어떤 정확한 기준에 의해서 아주 객관적인 데이터인 줄로 생각했는데 마치 통계처럼 주어진 자료를 어떻게 만들어내는지에 따라서 또는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서 얼마든지 의미가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조금 충격적이었어요.
요즘은 다들 복식부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
가끔씩 뉴스를 보면 회계조작으로 수억원을 빼돌리고 사장이 구속되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되는데 요즘은 은행 예금뿐만 아니라 많은 투자를 하게 되잖아요.
예를 들면 주식에서도 한 회사의 성장 가능성이나 지금 이 회사가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가 이런 회계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읽어도 될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