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이 품은 한국사 두 번째 이야기 지명이 품은 한국사 2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1편의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이번에는 전국이네요.
사실 역사를 인물이나 문화재 등으로 접근하지 않고 단순히 지명으로 살펴본다는 게 어떻게 보면 좀 낯설기도 하고 어떻게 이야기가 될까 싶었는데,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이름이 아니라 같은 곳이지만 다른 이름, 다른 느낌을 받는 지명이 참 많은 것 같아요.
어느 순간 차츰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져 갔지만 이제는 다시 우리들이 불러주어야 될 이름들이 아닌가 싶어요.
서울이나 경기도 그렇지만 이번에는 전국적인 우리의 이름을 찾는 과정이어서 자료조사에서 부터 많이 힘들었을 것 같아요.
나이 많은 어르신들의 기억 속에 있는 그 정겨운 또는 가슴 아픈 역사를 간직한 이름들.
만약에 이렇게 우리들의 세대에서 찾지 않으면 또 하나 둘씩 기억 속에서 사라져 가지 않을까요?
사람이 모여서 마을이 되고 사람이 지나가면서 길이 되는 것처럼 우리들이 사용하는 말에도 우리들의 생각이 반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그 곳을 지칭하는 이름이라고 해도 지명에는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의 마음과 역사가 녹아들어 있는 것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지명을 통해서 우리가 그 옛날의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는 것이고,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곳이 어떤 역사적 사건들을 겪었으면 어떤 사람들이 살았던 터전인지를 생각하면서 지금 우리들의 문화나 역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생각해볼 수 있기에 좋은 것 같아요.
특히나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곳, 내가 다니는 그 곳, 어쩌면 한 번쯤 여행해봤을 그 곳이 매일 보는 단순한 거리가 아니라 역사가 살아 숨쉬는 특별한 곳이라는 것 생각하면 왠지 모르게 정겹게 느껴지고 혹시라도 낯선 곳이라도 한 번쯤 와봤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네요.
가끔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가면 정류장의 이름이 지금은 쓰지 않는 말도 있고, 왜 이렇게 부르는지 궁금하기도 했었는데, 이제는 조금 우리나라의 구석구석을 좀 알게 된 것 같아요.
특히나 책을 펴보면서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바로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명이 아닐까 싶어요.
그저 글자에 지나지 않았던 이름이 이제는 하나의 역사가 되고 선조들의 이야기가 되는 것.
어릴 적에 우리 동네의 이름이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어떤 역사적 유물이 있는지 조사하던 때가 생각나네요.
만약에 책에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명이 없다면 스스로 한 번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내가 사는 곳을 사랑하는 것이 바로 더 나아가 우리나라를 사랑하는 길이겠죠.
이제는 지명을 보면 무슨 이야기가 담겨 있을지 생각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