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그대 신을 벗어라
임광명 지음 / 클리어마인드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와 건축의 묘한 만남처럼 왠지 낯선 느낌이 먼저 드네요.
그동안 어쩌면 우리들이 스쳐갔을 건물들이지만 이렇게 사진으로 보는 것이 참 새롭네요.
옷이 날개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사람들도 옷에 따라 그 사람의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고 특정 지을 수 있는 것처럼 그저 같은 건축물이고 같은 건축자재를 썼지만 어떤 용도의 건물이냐에 따라서 우리가 바라보는 느낌이나 감정이 달라지는 것 같아요.
단순히 어떤 특정 종교가 아니라 그 건물 자체의 아름다움이나 신비로움이 그대로 보여지는 것 같아요.
왠지 종교건축물이라고 하면 웅장하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종교에 따른 획일화된 건축양식이 생각나기 마련인데, 처음에 딱 봤을 때 전혀 그런 분위기가 풍기지 않는 건축물도 있고,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건축물의 새로운 형태나 아름다움이 묻어 있는 것도 많은 것 같아요.
그것이 도시에 있던 산 속에 있던 그 곳이 있는 장소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건물이 어떻게 지어졌고 어떤 형태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건물이 단순한 건축물이 아닌 종교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우리들의 마음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 같아요.
우리나라 곳곳에 이런 아름답고 거룩함이 느껴지는 건축물이 있다는 것이 새삼 자랑스럽기도 하고 마침 집 근처에 있는 교회가 책이 기록된 걸 보니 가슴이 뿌뜻해지기도 해요.
사람들의 수많은 기원과 바람과 깨달음이 살아 숨쉬는 그 곳.
그 곳에서 우리는 어떤 말이나 설명도 필요없이 마음 속으로 어떤 깨달음을 얻기도 하는 것 같아요.
그것은 아마 그 건축물이 만들어질 때 하나하나 모든 정성이 담기고 수많은 사람들의 정성이 그 속에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어떻게 보면 이국적이기도 하고 어떤 건축물은 얼핏봐서는 너무나 평범하지만 과거의 화려한 모습들과는 대조적으로 경건함이랄까? 외적인 모습보다는 내적인 아름다움이 느껴지기도 하네요.
건물축에서 어떤 감명을 받았길래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종교건축물만을 찾아다녔는지 처음에는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종교적인 의미나 역사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그 건축물이 가진 신비로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기 시작한 것 같아요.
그 속에 있는 문양이나 돌 하나 하나가 그저 놓여진 것이 아니라 어떤 가르침을 얻고자 하는 마음과 어떤 깨달음이라는 것을 말이죠.
겉모습과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안으로 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되요.
마치 무엇에 이끌린 것처럼 말이죠.
그 안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버릴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