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현대 LG가 농촌으로 가는 까닭은
정연근 지음, 김진석 사진 / 녹색시민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대학시절 농활로 갔던 농촌은 그동안 책에서 보아왔던 정겨운 시골풍경이 아니었던 것 같아요.
젊은이들은 없는 평균연령이 60이 되어가고 도시에 비해 열악한 생활 환경과 도시의 이로움은 꿈도 꿀 수 없는 척박한 땅.
그 땅을 땀으로 일구어 내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등이 휜 모습에서 그만큼 고단한 삶의 무게를 느꼈을지도 모르겠어요.
한 때는 농자천하지대본이라고 무엇보다 농민이 천하의 근본이라고 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도시화의 물결에 따라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고 그만큼 농촌에 일손이 모자라게 되고 수익도 각종 농수산물의 수입으로 인해서 점점 악화되고 그러다보니 점점 농사를 포기하게 되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 같아요.
지금 우리의 식습관도 서구화가 되어 예전만큼 쌀을 소비하지 않게 되잖아요.
거기에다가 값산 중국산 농산물이 대거 들어오면서 그만큼 농촌의 현실이 힘들어진 것 같아요.
그렇게 농촌이 쇠퇴되어가다가 최근에는 웰빙 붐을 타면서 농촌이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 같아요.
비단 노후에 공기 좋고 물 좋은 자연과 함께 지내려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아예 자신의 삶의 터전을 갑갑하고 답답한 도시를 떠나 살고 싶다는 젊은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인 것 같아요.
그리고 획일화된 농사에서 좀 더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기에 어쩌면 지금 농촌의 미래가 밝은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선진국에서도 농촌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질이 도시사람들의 삶의 질 못지 않게 높고 더구나 행복지수에 있어서는 도시인이 받는 스트레스나 각종 소음과 오염에 비해서 농촌이 더 살기 좋은 것 같아요.
이제는 농업를 미래산업으로 인식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대기업에서부터 농촌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 같아요.
이것은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일인 것 같기도 해요.
사람도 자연의 일부이기에 자연을 떠나서는 살 수가 없는 거잖아요.
그리고 우리가 먹는 기본적인 음식들이 다 농촌에서 생산되잖아요.
도시인을 끌어들이기 위한 각종 테마체험에서부터 일일농장까지 기존에 볼 수 없었던 농촌의 변화가 반갑지만 한 편으로는 대기업이나 사람들의 관심때문에 자칫 농촌이 도시처럼 또 오염되고 더 나빠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되기도 해요.
하지만 꿈을 꿀 수 있는 미래가 있는 농촌의 모습을 기대해볼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