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덕 교육 강좌
미시마 유키오 지음, 이수미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제목만 봐서는 부도덕에 대한 교육 강좌인지 부도덕을 하지말자는 교육강좌인지 애매모호하네요.
물론 책의 내용도 소제목이 지금까지 우리가 하지 말아야 된다고 배워왔던 도덕적인 개념에서 보면 완전히 반대되는 부도덕에 관한 이야기 같지만 실상 이야기를 읽고 나면 왠지 도덕적으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건 뭔지 아리송하게 하네요.
어떻게 보면 충격요법일 수도 있고 해학과 풍자로 녹아내린 교육적인 가르침 같기도 하고 아무튼 지금까지 우리가 배워왔던 도덕적인 교육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는 거에요.
비록 작가가 50년 전에 쓴 이야기이고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 사회를 풍자했다고 하나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그리 낯설지 않은 이야기라는 것은 도덕과 부도덕의 개념이 어떤 특정 공간이나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인류의 공통된 개념인 것 같고 특히나 이런 부도덕성이 어느 사회에나 만연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거겠죠.
사실 도덕이라는 것은 논하기에 앞서 인간의 본성이 선한지 악한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겠어요.
성선설을 믿는다면 왜 그리 세상에 악한 사람들이 많은지, 특히나 요즘 어린아이를 상대로한 범죄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 정말 사람이 원래 착하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에요.
하지만 성악설을 믿는다고 해도 세상에는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을 먼저 생각하는 천사같은 사람들이 너무나 많잖아요.
아무튼 도덕적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너무 어렵다는 것이 바로 문제인 것 같아요.
왠지 도덕적으로 살면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손해보는 것 같고, 바보처럼 느껴지는 건지 모르겠어요.
이건 아마도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사회적인 문제이기도 해요.
도덕적인 사람들이 더 행복하게 살 수 있고, 대우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도덕적인 사람들이 더 사회적으로 유리하고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면 그건 말이 안되는 거잖아요.
작가에 눈에 비친 사회의 모습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모습이겠죠.
사실 제목을 보고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아야됨에도 불구하고 이런 것에 너무 익숙해져버린 것 같아 씁쓸해지네요.
다른 사람들을 지적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모습을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요?
어쩌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부도덕을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고 있지 않았는지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