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만의 정권 - 탈세와 부정으로 얼룩진 오바마 정권의 이면
미셸 말킨 지음, 김태훈 옮김 / 시그마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최근에 또 경제사정이 안 좋아지는 것 같아요.
전세계적으로도 그렇고 유럽 특히 그리스쪽이 왜 그러는지 모르겠네요.
오바바 정권도 처음에 취임할 때 경제에 최우선을 둔다고 했지만 시간이 지금 흐른 지금 과연 그 때보다 더 좋아진 걸까요?
도대체 얼마나 더 힘든 경제상황을 헤치고 나아가야할지 좀 막막하네요.
아무래도 경제가 자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영향을 받다보니 특히나 우리나라는 수출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경제구조이기 때문에 외국의 경제상황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사실 오바바 대통령이 당선되었을 당시 많은 이슈를 낳은 것 같아요.
젊은 대통령이고 또한 미국에서 어떻게 보면 비주류일 수 밖에 없는 유색인으로서 처음으로 당선되었기 때문이겠죠.
어쩌면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할 수 밖에 없었겠죠.
사실 어디에나 성공을 위해서 대가를 치루어야 하는 것 아니겠어요?
이 책에서는 오바바 정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하고 있어요.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기만의 정권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죠.
국민들을 기만하는 것만큼 더 나쁜 건 없을 것 같은데요.
도대체 무엇을 기만했다고 하는지 궁금해지네요.
처음에는 무슨 음모이론에 바탕을 둔 조금은 과장되고 추측성의 이야기들이 담겨있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사실 읽다보니 점점 더 신빙성이 있는 것 같기도 하네요.
잘 모르는 입장이다 보니 어떤 것이 진실이고 어떤 것이 거짓인지 잘 판단이 서지 않는 것이 사실이지만 속담에 보면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는 말처럼 무엇인가 있는 것은 아닐까 싶어지네요.
정치라는 것이 사실 돈 없이는 할 수 없는 거잖아요.
물론 깨끗하게 후원을 받아서 써야 할 곳에 정당하게 쓴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사실 은밀하게 오고가는 정치자금 같은 것이 있잖아요.
특히나 미국 의회의 경우 로비스트들이 많다고 하는데, 우리도 가끔 언론에 크게 부각되기도 하잖아요.
어짜피 자기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이 소수의 몇 사람에게만 이익이 되고 다수의 국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라면 안되겠죠.
그리고 오바바 대통령이 보다 서민적이고 어려운 사람들의 입장을 이해해줄거라 생각했는데 그가 성장해 온 과정을 통해서 보면 그다지 힘들었던 것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무턱대고 그를 비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객관적으로 판단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되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