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미처 몰랐네 그대가 나였다는 것을 - 무위당 장일순 잠언집
김익록 엮음 / 시골생활(도솔)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게 되면서 머리속에 자꾸 떠오르는 생각이 하나 있어요.
처음에는 작가가 누구인지 몰랐지만 무위당 장일순이라는 계속 머릿속에 맴도는 거 있죠?
도대체 장일순 선생님이 누구이길래 다들 저렇게 이야기를 하는지 몰랐어요.
사회운동가이기도 하면서 교육가, 서예가로 특히 난초에 조예가 깊었다고 하네요.
노자 사상에 관심이 많아서 노자 이야기를 저술하기 했으면 그 자신이 실제로 무위자연의 삶을 살아가기를 바랬다고 하네요.
다양한 문인들과 종교인들을 통해서 종교적 갈등이 아닌 화합을 중시한 것 같아요.
노자를 풀어쓴 노자 이야기의 저술이 있지만 이 책은 선생님의 지인들이 편찬한 잠언집의 성격의 책이라고 하네요.
사실 잠언이라고 하면 좀 고리타분하고 세상이나 현실과 좀 동떨어진 이야기들일 경우가 많은데 선생님의 잠언은 사람과 특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더구나 서민들의 삶과 말이죠.
그래서 더욱 더 한 마디 한 마디에 빠져들게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읽다보면 마음에 무언가 와 닿는 느낌이 들어요.
밥 한 그릇에서 온 우주의 생명을 이야기하고, 현대의 물질만능주의 세상에 물들지 않은 도도함과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낮은 사람들에게 더 다가가고 사랑하고 따뜻했던 선생님의 마음이 가르침 속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는 것 같아요.
세상의 모든 부귀영화가 결국에는 티끌인 것을, 우리는 너무 아둥바둥 살아온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글 뿐만 아니라 그림 속에도 무언가 형용할 수 없는 향기가 깃들여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진주가 진흙탕 속에 있어도 진주인 것처럼 진정한 깨달음은 빛을 발하는 것 같아요.
그대가 나였다는 것을... 이라는 말 속에 담긴 의미를 각자가 깨달았으면 좋겠어요.
더 늦기 전에 말이죠.
비록 똥물이라도 함께 빠질 수 있고 그 속에서 올바른 길을 인도할 수 있기를 말이죠.
마음 속에 느끼는 것이 하나 있고 무언가 생각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좋았던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