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과 체찰 - 조선의 지성 퇴계 이황의 마음공부법
신창호 지음 / 미다스북스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어디서 많이 보던 얼굴인데요 ^^;;
하지만 요즘은 워낙 물가가 올라서인지 자주 보지는 못하는 것 같아요.
거의 세종대왕만 보게 되는 것 같아요.
가끔 가다가 신사임당도 보구요.
조선시대의 유명한 성리학자로 잘 알려져 있는 퇴계 이황 선생님이 공부법은 과연 어떠했을지 무척이나 궁금해요.
지금도 아이들의 교육에 대해서 부모님들의 관심이 크잖아요.
요즘은 초등학교도 아닌 유치원에서부터 영어교육을 하더라구요.
하지만 퇴계 선생님의 인지도에 비해서 그 학문적 성과나 일화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 게 없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 한 것 같아요.
함양과 제찰이라는 좀 어려운 한자를 제목으로 써서 그런지 처음에 무척이나 난해하게 느껴지고 어려운 책이 아닐까 하는 편견이 들게 되더라구요.
함양과 제찰이 퇴계 선생님이 후배 유학자들과 주고 받은 편지를 추려서 엮은 서간집인 <자성록>의 토대로 해서 구성했다고 하네요.
교육이라는 것이 지성을 탐구하고 찾아나가는 것일 수도 있지만 그런 지식보다 더욱 더 중요한 것은 사람이 사람처럼 살아가는 방법, 인성교육이 먼저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마음 공부법이라는 것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조금은 낯설고 생소하게 느껴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공부라는 것이 단순한 암기가 아닌 이치를 깨닫는 것이라는 것이 참 마음에 와 닿는 것 같아요.
조선시대의 최고의 학자가 될 수 있었던 공부법이라 관심이 많이 갔지만 공부라는 것이 1등을 해야만 한다는식의 다른사람과의 경쟁이 아닌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고 깨달아가는 과정이라는 것이 알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물론 경쟁에서 뒤쳐지라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마음을 다스리게 되면 지금보다 더 좋은 성과가 나타나지 않을까요?
마치 무언가로 한 대 맞은 듯한 느낌이 드는 건 왜일까?
시대가 변해도 진리는 보편적인 것 같아요.
퇴계 선생님의 학문적인 생각을 잠시나마 들여다 볼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