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낭 담쟁이 문고
이순원 지음 / 실천문학사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워낭이라고 하니 예전에 영화로 나왔던 <워낭소리>가 생각이 나는 것 같아요.
솔직히 옛날처럼 명절 때 시골 할머니 댁에 내려가던 기억이 있으면 아마도 다들 소 한 마리쯤 보았을텐데 워낭이라는 것 처음 들어보는 말 같아요.
더구나 지금은 할머니, 할아버지도 어느 정도 도회지에 살고 소 대신 경운기나 트랙터 등 농기구가 그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에 워낭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소 자체를 본 아이들이 있을까 싶어요.
그만큼 점점 도시화되어가고 시골의 정취 같은게 점점 사라져가는게 아쉬운 것 같아요.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점점 잊혀져가는 것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 때문에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이지만 한국 독립영화 사상 최고의 기록을 경신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워낭'이라는 게 소나 말의 턱 밑에 매어 놓는 방울을 말하는 거 이제는 아마 다들 알고 있을거라 생각이 되네요.
소는 태어나서부터 사람들을  위해서 열심히 일하고 때로는 자식들의 대학 등록금으로 팔려 나가기도 하면서 오로지 자신의 모든 것을 사람들을 위해서 희생하게 되죠.
그래서 우리들의 정서에 소 한 마리가 큰 재산이라는 의미가 되겠죠.
그만큼 아끼고 어떻게 보면 친자식처럼 키워온 소이기에 남다른 정서적 교감이 있는 것 같아요.
워낭이라는 제목처럼 빠르게 돌아가는 도시 속 삶이 아닌 느긋하게 흘러가는 시골의 여유가 물씬 풍겨지는 이야기인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소와 인간의 관계를 통해서 본 우리들의 삶은 단순히 소라는 동물과 그 소를 이용해서 노동력을 얻거나 단순히 고기를 섭취하는 입장이 아니라 그 이상의 무언가 끈끈한 우정같은 감동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그만큼 우리들의 삶에 소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반증이 되겠죠.
소와 함께 인간이 함께 성장하다는 게 사뭇 잊고 지낼 수 있는 대자연과의 소통을 생각해보게 하는 것 같아요.
가족 성장 소설이지만 그 안에 녹아있는 워낭소리가 깊은 울림을 우리에게 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