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실천법 - 미국은 왜 '시크릿 실천학교 매뉴얼'에 열광했는가? 시크릿 실천
존 디마티니 지음, 한수영 옮김 / 길벗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시크릿이라는 책을 읽어보았지만 사실 그 비밀이라는 것이 쉽게 받아들여지거나 또는 풀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잘못된 것일까요?
단 1%만이 알았던 부와 성공에 대한 비밀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난 그 1%에 속하지 않은 것 같아요.
하지만 누구나 성공을 꿈꾸고 그것에 대한 비밀을 알고 싶어 하는게 당연하고 그 해법이 무엇인지 무척 궁금해요.
아마도 그 마법과 같은 비밀을 알 수 있다면 성공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지만 그 비밀만 가지고는 어떤 것도 할 수 없다는 것도 알게 된 것 같아요.
세상을 살아가면서 돈이라든지 인간관계 속에서 우리는 많은 선택의 기로에서 고민하고 그 순간 누구는 올바른 선택을 다른 누구는 잘못된 선택을 할 수도 있고 그것이 결국에는 인생에 있어 성공이냐 아님 실패냐를 결정 짓는 중요한 순간이었다는 것을 알게 될 때도 있는 것 같아요.
아마도 성공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모르는 뭔가 그들만의 비밀이 있기 때문에 성공하는 건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그 비밀을 안다고 해도 그 비밀을 풀어내거나 또는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겠죠.
이론과 실천이 다르다는 걸 알기에 시크릿을 읽고 나서도 삶이 변화하지 못한 것 같아요.
그래서 이번에 나온 시크릿 실천법을 통해서 다시 한 번 성공을 위한 길에 들어서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되는 것 같아요.
사실 매년 신년이 되면 각종 계획을 세우지만 대부분이 작심삼일이 되는 것 같아요.
아마도 너무 거창하거나 많은 계획을 세우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시크릿에도 크게 보아서 일곱가지가 있다고 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하나만이라도 이룰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어떤 사람은 부를 원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건강을 원할 수도 있겠죠.
아마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지만 일단은 하나만이라도 간절하게 원하고 그것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다면 이룰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그것이 전혀 불가능한 일로 보이더라도 세상에는 그 불가능한 일을 현실로 만든 사람들이 있기에 우리들은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건 아닐까요?
그것이 바로 우리가 찾고자하는 시크릿이 아닐까요?
경제가 어렵고 살기 힘들지만 희망을 가질 수 있다는 거..
그리고 그 희망을 위해서 오늘도 열심히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시크릿을 경험할 수 있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