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균과 이순신에 대해서 그 평가가 정말 다른 것 같아요. 이순신 장군이야 구국의 영웅이며 누구나 좋아하는 위인인데 이에 비해서 원균은 이순신의 공을 가로채거나 모함을 하는 아주 좋지 않은 이미지로 비춰지는 것 같아요. 지금은 방송이 끝났지만 언젠가 꼭 빠지지 않고 보던 드라마가 있었는데 KBS에서 방영되던 불멸의 이순신이에요. 물론 본방송이 끝나고 재방송도 재밌게 봤어요. 임진왜란을 맞아 일본의 신식무기에 밀리고 계속 패전만 거듭할 때 승리를 거둬서 아군의 사기를 높이고 얼마남지 않은 전함을 가지고 막강한 일본해군을 격파하는 모습은 정말 가슴 후련한 기분을 주고 애국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끔 하더라구요. 전세계 해전사에서도 길이 기억될 장군이며 해전이라는데 더한 자부심을 가지게 되구요. 아마도 아이들이 좋아하는 위인들 중에 1위를 다투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어요. 그만큼 나라 존망의 위기에서 나라를 구해낸 구국의 영웅이기 때문이겠죠. 항상 광화문을 지날때면 늠름히 서 있는 이순신 장군의 동상이 멋져보이더라구요. 요즘은 광화문 광장을 새단장해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고 하는데 혼자 서 있어 외롭진 않겠어요. 하지만 원균 장군의 경우도 천하의 맹장이라는 소리를 들을만큼 전장에서 많은 활약을 했고 그에 따라서 평가가 재조명되어야 된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네요. 물론 잘못한 점이 있다면 그것 역시 제대로 평가되어 본보기로 삼아야겠죠. 전장에서 패한 장수는 할 말이 없다고는 하지만 결과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 또한 헤아려봐야하지 않을까요? 목숨을 바치는 전장에 나아가는 이순신 장군이든 원균 장군이든 애국심에서 차이가 있었을까요? 이 책에서는 아무래도 이순신 장군의 그늘에 가려진 원균 장군에 대한 진실 찾기 게임인 것 같아요. 저 또한 책을 읽으면서 원균 장군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된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편견을 가지고 생각했던건지도 모르겠네요. 사실 어떤 것이 진실이고 거짓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느 한 쪽의 의견이 아닌 다양한 의견을 접하는 것도 진실이 접근하는 데 더 많은 도움을 줄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상반되는 주장들이 있기에 어디에 손 들기보다는 한 발자국 물러서서 바라봐야 할 것 같아요. 역사의 진실은 참 찾기가 힘들다는 생각도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