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을 통째로 바꾸는 게임 체인저
A. G. 래플리.램 차란 지음, 정성묵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게임을 하게 되는 그 게임의 룰을 따르는게 정상이라고 생각되는데 그 법칙을 바꾸거나 어기면 안되지 않나요?
하지만 그 게임을 단순히 따라하면 언제나 게임의 지배를 받을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게임에서 이기려면 자신에게 유리한 게임을 만들어낸 게임 창조자만이 어떻게 이길 수 있는지 방법을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단순히 게임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이길 수 없는 게임이 어쩌면 바로 우리의 현실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요.
게임을 이기기 위해서 바꾸겠다는 생각의 발상이야말로 정말 획기적인 것 같아요.
기업이라는 게 어떻게 보면 이익을 추구하고 살아남는 게 목표 아니겠어요?
다른 기업과 같은 방식으로는 어떻게 보면 최고가 될 수 없는 한계가 있잖아요.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무언가 다른 특별한 것이 있어야 되는데 그것이 바로 혁신 아닐까요?
단순히 게임을 바꾸었다고 해서 성공을 장담할 수는 없겠지만 기업의 혁신을 통해서 눈부신 성과를 거둔 P&G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어떻게 생각의 전환을 할 것인가를 말하고 있어 단순히 이론적인 탁상공론이 아니라 실천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게 눈에 보이지 않는 신기루가 아니고 머리 속에서 상상을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P&G의 경우 매출이 눈부신 성장을 했는데 그 이면에는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기업문화가 있는 것 같아요.
사실 말로는 모든 기업들이 고객이 왕이라고 말들을 하지만 실제 그 속을 들여다보면 소비자는 돈으로 밖에 보지 않는 기업문화가 많은 것 같아요.
제품을 팔기 위해서는 모든 아첨을 다하고 지키지 못할 약속을 남발하다가 막상 문제가 생기거나하면 나몰라라 하는 기업의 행태는 주위에서 손쉽게 볼 수 있잖아요.
기업은 고객이 없으면 존재할 수도 이익이 날 수도 없잖아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모든 기업의 활동이 고객을 중심으로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소비자의 욕구를 얼마나 만족시킬 수 있는지가 기업의 미래를 좌우한다고 해도 될 것 같아요.
기업의 문제를 찾아내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
참신하고 획기적인 방법을 통해서 기업을 변화시키고 게임을 주도하는 것이 바로 성공으로 나아가는 길인 것 같아요.
고객 감동이라는 걸 한 예로 들었지만 게임을 바꿀 수 있는 혁신은 더 많을 것 같은데 과거에 얽매이지 말고 좀 더 유연한 사고를 가져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