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서전 쓰기 특강 - 자기 발견을 위한
이남희 지음 / 연암서가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서전이나 자기소개서만 생각하면 머리가 아픈데..
누구나 인생이 한 편의 드라마처럼 사건사고가 많다고 생각하는데 막상 글로 나타내려고 하면 도무지 정리가 되지도 않고 어떻게 적어야 할지 대략 난감하기 그지 없을 것 같아요.
그리고 잘난 점은 부각시키려고 하고 못난 점은 감추거나 얘기하지 않으려고 하는게 사람의 마음이 아니겠어요?
자서전하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유명한 사람이나 위인들의 전기를 생각하게 마련인데 자서전 쓰기 특강이라니..
뭐 요즘은 자서전을 대신 써주는 사람도 많을 것 같은데 굳이 특강까지 받아야돼? 라고 생각했지만 글쓰기를 통해서 지금의 나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도 있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앞으로 나의 미래에 대해서 어떤 꿈을 가지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자기 반성을 시간을 갖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사실 누구나 글쓰기에 대해서 알게 모르게 거부감이나 울렁증 같은 게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나도 그렇지만 생각은 많지만 막상 글로 쓰려고 하면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게 머리가 하얗게 변하더라구요.
어릴적에 일기쓰기가 글쓰기에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을텐데 숙제라는 강박관념인지 몰라도 즐겁게 글쓰기를 한 기억이 없는 것 같아요.
독후감도 자발적으로 책을 읽고 느낀 점을 적어놓으면 되는데 왠지 과제로 제출해야한다든지 하는 심리적 부담이 어릴적부터 컸나봐요.
글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는 거 정말 대단한 노력이고 정성인 것 같아요.
사실 글쓰기라는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잖아요.
그만큼 창작의 고통이라는 걸 자서전 쓰기에 도전하면서 느끼는 것 같아요.
쓰기에 대해서 두려움이 많은데 그건 아마도 연습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일지 모르겠어요.
글쓰기에도 나름의 방식이 있고 그 방식에 따라 차근차근 따라가면 되는데 그 길을 모르면 글을 쓰다가 길을 잃고 헤매게 되는 거랑 같다고 할까요?
자서전이라면 아무래도 어린시절부터 지금까지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해서 적는 거겠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의 인생관이 무엇이었는지 스스로에 대해서 지나온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살아갈 방향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