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1세기와 소통하다
안희진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사실 동양철학이라고 하면 논어, 맹자가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바쁘게 살아가는 지금 현실에 옛날의 동양철학은 좀 고리타분하고 왠지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이라는 게 나름의 생각이었는데,
사람의 삶이라는게 과거의 삶이나 지금의 삶이나 그리 달라진 건 없는 것 같기도 해요.
뭐 물질적으로나 생활적으로는 많은 변화가 있고 발전이 있어지만 사람의 마음이라는 건 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에요.
만나고 사랑하고 헤어지고..
삶이라는 것도 모든 것이 다 마음먹기에 달린 것 아닐까요?
장자의 사상이나 생각을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거든요.
공자의 얘기나 맹자의 얘기는 그나마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말이죠.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장자의 생각이나 사상이 공자의 그것이나 맹자의 그것보다 못하지 않다는 것 알게 되었어요.
공자의 얘기를 비판하고 재해석하는 것을 보고 정말이지 조금 충격을 받긴 했어요.
아~ 정말이지 보통사람이면 전혀 생각하지도 못할 정도의 참신하고 신선하지만 왠지 오묘한 철학이 담긴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어요.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것. 즉, 정신의 자유를 추구하는 것 같기도 하고..
처음에 읽을 때는 여러가지 비유를 통해서 아~ 그럴수도 있겠네라고 이해를 하지만 읽고 나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면 어? 왜 그렇게 생각하는 거지? 하면서 갑자기 머리가 복잡해지는 경우도 도대체 뭐에요.
옛날의 고리타분한 말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그 심오한 뜻을 긴 시간이 지나도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감각적인 현실세계와 그 너머의 정신적인 세계의 관계
현실에 속해서 살아가고 있지만 정신적인
하지만 지금 여러가지 문명의 이기에 길들려진 우리들을 보면서 세속적인 곳에 가치를 두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마음의 자유를, 안정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무위자연..
현재의 물질문명사회에서 어떻게 보면 더 필요한 사상과 생각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만큼 요즘은 사람들의 정신이 점점 황폐화되어 가고 있다는 느낌이 많이 들어요.
사랑이라는 정말 순수한 마음도 한 순간의 쾌락을 위해서, 더 나은 조건을 위해서 변질되어 가는 것을 보면서 얼마나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것이 힘든 것인지를..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현실에서 아둥바둥 사는 입장에서 이해가기 쉽지 않네요.
가식과 위선을 벗어던진 모습으로 살고 싶은데 세상이라는 게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걸 잘 알기에 어떻게 살아야되는지 알면서도 그렇게 살아가려고 마음은 있지만 그렇게 살 수 없는 것이 참 힘드네요.
비록 예전부터 전해져온 이야기이지만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아도 사람이 어떻게 마음가짐을 가지고 살아가야할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것 같네요.
할 수만 있다면 상담이라도 한 번 받고 싶은 생각이 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