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로 말해요 - 농인 아내, 청인 남편이 살아가는 이야기
가메이 노부타카.아키야마 나미 지음, 서혜영 옮김 / 삼인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다가 결혼이라는 것을 통해 하나의 삶과 방식을 공유해야하는 부부의 경우 연애시절에는 모르는 많은 문제점이 나타날 것 같아요.
아직 결혼은 안했지만 드라마나 결혼한 친구들을 보면 정말이지 사소한 거 하나에 목숨을 거는 걸 보면서 왜들 그러나 싶을 때가 있어요.
물론 본인들은 정말 심각하고 진지한 문제이겠지만 말이죠.
아니 예를 들어 양말을 바로 벗든, 뒤집어 벗든, 아침밥을 꼭 먹어야되는지 아님 토스트와 우유로 먹으면 안되는지...
식성부터 시작해서 사사건건 충돌이 생기면 누구하나는 양보를 해야겠지요.
연애시절에는 그렇게 닭살스러움을 보여주면서 한 번도 안 싸울 것 같더니만 결혼하고 첫 부부싸움을 하고 얘기를 하는 것 들어보면 역시 결혼은 현실이야라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이처럼 평범한 부부들도 자신들만의 성격이나 생활방식으로 다투는 것이 많은 게 부부생활인데, 뭐 나름 둘 만의 알콩달콩 사는 재미가 될 수도 있겠지만 말이죠.
이 책에 나오는 부부의 경우는 약간의 불편함이 있는 경우라서 살아가면서 의사소통이 무척이나 힘들 것 같아요.
남편은 청인, 부인은 농인..
처음엔 청인, 농인이 무슨 말이지 몰랐어요.
티격태격 싸우면서도 그만큼 정이 드는게 부부가 아니겠어요.
한 쪽이 부족하면 한 쪽이 채워주고 그렇게 세상을 같이 살아가는 거 그런 게 행복이겠죠.
마치 화성인 남자와 금성인 여자처럼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가지고도 재밌는 일상을 살아가는 그들 부부의 이야기가 너무 아름답고 정겹게 느껴지네요.
두 사람의 현실적 거리를 한국어를 쓰는 사람과 말레이시아어를 쓰는 사람과의 거리라고 설정한게 가슴에 딱 와닿네요.
일반적으로 두 사람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어떤 언어를 공통으로 써야될지의 문제점이 바로 농인과 청인인 두 부부가 어떻게 의사소통을 해야할까의 문제인 것 같아요.
물론 두 사람의 공용어는 수화가 되겠죠.
처음엔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서 벌어지는 웃지못할 이야기들..
일면 평범한 부부의 생활이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이들 두 부부의 서로를 이해해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들은 과연 서로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네요.
우리도 다른 사람들의 말을 잘 듣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말만 하면서 살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고양이와 거북이의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지만 다른 생활방식과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행복을 가꾸는 모습이 너무나 보기가 좋은 것 같아요.
일면 이해가 되지 않는 이야기도 있지만 그건 아마도 내가 그들의 삶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가끔은 나와는 조금 다른 이들과 함께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함께 나누고 싶네요.
이들에 대한 배려가 없는 세상을 보면서 편견이나 동정이 아니라 마음과 마음으로 통하는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어 보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