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패턴 - 루스 베네딕트 서거 60주년 기념, 새롭게 탄생한 문화인류학의 고전
루스 베네딕트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화인류학이라는 다소 생소하지만 흥미로운 분야의 이야기라서 읽기 시작하고는 푹 빠져버렸네요.
물론 내용이 조금 학문적이라서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문화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뭇 공감이 가는 내용이라 관심이 가네요.
문화와 민족 또는 더나아가 인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지금도 다양한 민족이 존재하고 그만큼 더 많은 문화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사실 어떻게 보면 어떤 곳에서 어떤 문화가 발생하게 되는지 신기하기도 해요.
어느순간 그냥 뚝딱하고 만들어지는게 문화가 아닌데, 어떤 곳에서는 먼 지리적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문화가 존재하고, 어떤 곳에서는 가까운 곳에서도 전혀 다른 문화가 공존하고 있으니 말이죠.
문화인류학에서도 여러 이론들이 있는데 저자인 루스 베네딕트의 경우에는 스승인 프란츠 보아스의 영향으로 문화상대론을 주창하고 하고 있어요.
우선 진화론이 인종 중심주의라고 비판하고 있는 거죠.
어떤 문화가 어떤 문화에 대해서 더 우월하다거나 더 열등하다는 게 사실은 기준이 모호하잖아요.
문화가 가지는 특수성이라는 것도 있는데 말이죠.
과학적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실험을 통한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는 것인데,
문화라는 사회적인 연구에서도 객관성이 확보된 자료를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거에 대단히 존경스럽네요.
책에서 다루고 있는 부족들 중에서 주니족의 자료는 저자가 여러차례의 현지탐사를 통해서 얻은 지식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네요.
문화를 알기위해서는 단지 눈에 보이는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말아야지 그 실체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것 아니겠어요?
그런 의미에서 문화를 특징으로만 파악하지 않고 그 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정서나 가치 등을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거겠죠.
또 성급한 일반화 또한 배제해야 되는 거겠죠?
아시아의 경우 중국,일본,한국 등 여러나라가 있는데 외국인이 보기에 세 나라의 국민들이 똑같아 보인다고 해서 같은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 안되는 것처럼 말이죠.
그래서 여러 부족들을 비교 연구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집필한게 바로 이 책이라고 하네요.
도부족, 콰키우틀족, 주니족
물론 도부족은 저자가 자료를 모은 것이 아니지만 믿을 만한 자료이기에 사용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요.
문화의 패턴이라는게 한 마디로 말하면, 무수한 선택의 결과라는 거죠.
어떤 곳에서는 4라는 숫자가 금기시 될 수가 있고, 어떤 곳에서는 13이라는 숫자가 금기시되는 것처럼 어떤 숫자에 어떤 의미를 가지게 할 것인지는 그야말로 우연한 선택이라는 거죠.
그렇게 선택된 것들이 특정한 문화를 만드는게 아닌지 모르겠어요.
여러 문화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들도 좀 더 깊이 파고들면 인류가 가지는 공통된 행동이나 양식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문화를 통해서 인류를 더 나아가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 모두를 한 단계 더 이해할 수 있는 길이 되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