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갈릴레오의 고뇌 ㅣ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5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10년 11월
평점 :
일본소설에 그다지 매료되지 못하고 있을 때, 맛을 보여준 작가가 오쿠다 히데오였다. 작품성을 떠나 일단을 기분좋은 독서를 허락한 작가였다. 그리고 일본소설의 깊은 수렁으로 끌어들인 작가는 히가시노 게이고였다. 그의 작품 <레몬>을 읽고, 이가 시리도록 강한 맛에 빠져들었다. <11문자 살인사건>에서의 가벼운 실망은, <용의자 X의 헌신>으로 충분히 회복되었다. 그의 소설에는 추리와 반전, 그리고 사람에 대한 이해가 깊이 녹아있다.
갈리레오의 고뇌,
제목만으로는 충분히 그의 이름에 걸맞는 작품을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하지만 기대를 이끌어 내기에만 충분한 이 제목이 소설에 대한 기대감도 충족시키는 건 아니다.
물리학 교수 유가와의 등장은 <용의자 X의 헌신>을 떠올리게 했다. 첫 이야기가 너무 싱거워, 에피타이저이겠거니 하며 살짝 화남을 눌렀다. 메탈의 마술사로 불리는 유가와의 스승 도모나가가 등장하자 안도했지만, 그냥, 정말 그냥, 추리소설이었다. 딸, 나미에를 향한 배려로, 스스로를 완벽한 범죄자로 만든다는 설정 역시 <용의자 X의 헌신>과 비슷하다. 용의자의 모티브에 약간의 각색이 가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쉽게도, 여러 단편들로 이루어진 이 책에서 히가시노 게이고의, 갈릴레오의 고뇌를 읽을 수는 없었다. 유가와는 사건의 개연성과 인과관계에 대해서 보다는 사건을, 철저하게 연구적, 해결적 과제로만 삼는다. 아서 코난도일의 <셜록 홈즈>시리즈의 초기작품들과 맥을 같이 하지만, 치밀성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다.
아마도 히가시노 게이고와의 첫 만남을 이 책으로 했다면 모를까,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유가와가 던진,
"과학은 신비로운 것을 무작정 부정하지는 않아. 그 아이는 진자를 가지고 자신의 내면과 대화를 나누고 있었던 거야.
진자를 움직이는 것은 바로 그 애의 양심이야." 라는 말에서 느껴지는 여운으로,
히가시노 게이고의 ’내면과의 대화’가 녹아있는 다음 작품을 기대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