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타시커 2 - 별을 쫓는 아이
팀 보울러 지음, 김은경 옮김 / 놀(다산북스)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한 곳에 있지 못하고, 어느 하나 누구도 자신을 이해해 주는 이 없는 루크.
루크는 엄마와 세상에 반항을 하며 스킨패거리와 어울려 스스로를 망가트려간다. 더이상 피아노 레슨도 받기 싫고, 학교도 빠지고, 술도 마시고 담배도 핀다. 하지만 그렇게 해도 루크는 스킨패거리와 같이 될 수 없다. 스킨 패거리들도 그걸 안다.
아무리 자기들과 같이 학교를 빼먹고, 온갖 나쁜짓을 하며 어울려도 스킨패거리와 루크는 같아질 수 없다. 이는 바로 루크의 재능 때문이다. 이 재능 때문에 루크는 '특별'하다.
그래서 일까? 스킨패거리, 특히 스키너의 루크에 대한 괴롭힘은 도를 넘어선다. 툭하면 루크의 (피아노를 치기에 완벽한) 손가락을 부러트리겠다고 을러댄다. 그리고 엄청난 린치를 가하며 도둑질을 시키기도한다.
소심한 소년 루크에게 스킨패거리의 괴롭힘은 엄마의 재혼과 함께 넘어야할 큰 문제거리 중 하나다.
도둑질을 하러 들어갔던 리틀부인의 저택에서 만난 눈먼 소녀 나탈리.
루크는 그 나탈리와의 만남으로 큰 깨달음을 얻는다. 바로 별!!
아빠가 헨델의 메시아를 들으면서 그린 오각형의 별은 나탈리가 먼지위에 그린 오각형과 일치하며, 이는 루크가 차이코프스키의 '달콤한 꿈'을 들으며 떠올린 오각형과 일치한다.
소리를 단순한 소리가 아닌 음과 색 그리고 모양으로까지 만들어낼 줄 아는 재능, 아빠와 나탈리, 그리고 루크는 많이 닮아 있었다.
"루크, 어쩌면 우린 모두 일종의 소리굽쇠일지도 몰라. 다만 어떤사람들은 다른사람들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게지. 너와 네 아빠처럼 민감한 사람들은 에테르를 통해 울리는, 다른사람들과 동물의 진동을 느끼는 건지도 몰라. 어쩌면 우주 전체의 진동을 느끼는 지도 모르고."
귀를 통해 들리는 소리들로 인해 루크가 많이 혼란스럽과 괴로웠듯이, 루크는 세상의 변화에서 오는 진동으로 인해 요동을 친다. 아주 민감한 심성을 가진 루크이기에 그는 아버지의 죽음과 엄마의 재혼을 쉽게 받아들일 수 없어 그렇듯 요동을쳐 댄 것이다. 하지만 그토록이나 자신을 괴롭히던 소리의 존재에 대한 깨달음을 얻은 루크는 자신도 모르게 아버지와 함께 있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이미 2년전 자신의 곁을 떠나 이세상에 없는 아버지이지만, 루크는 가끔씩 그리고 간절히 아버지의 존재를 느낀다. 이제 세상에 혼자가 아니다. 때문에 루크는 혼자였으면 하지 못했을 일들을 한다. 눈 먼 소녀 나탈리, 아니 발리와 세상에 숨어 은둔하는 리틀부인. 루크는 이 복잡한 인연을 끊어낸다. 그리고 루크 자신또한 스킨패거리와의 악연을 끊을 수 있게된다. 비록.. 아버지와의 추억이 함께한 물푸레 나무가 다 타버리고, 자신이 죽을뻔하고, 길모어씨가 크게 다치지만...
"나무가 노래해, 다시 깨어나고 있어. 상처받았지만 치유될 거야."
팀 보울러가 [스타시커]를 통해서 이야기 하고자 한 바는 루크의 이 말 한마디에 모두 축약되어있다. 기름이 끼얹어진채, 불에 타고 이제는 살아날 가망이 없을거란 선고를 받은 물푸레 나무에게서, 루크는 삶의 기운을 느낀다.
팀 보울러가 만들어낸 세상 속 사람들의 이야기 또한 마찬가지이다. 눈마저 멀어 낯선 곳에서 살아가던 소녀 나탈리는 소리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았고, 마침내는 그리웠던 부모님과 만나게 된다. 못생긴 얼굴을 숨기고 괴팍한 노인으로 혼자 늙어가던 리틀부인은 음악회에 찾아와 루크의 연주를 듣고, 세상사람들과 교류를 해간다. 아버지의 죽음으로 피폐해졌던 루크또한 자신의 처지에서 스스로 벗어난다.
'사람은 누구나 상처를 받지만 스스로 그 상처를 치유하며 자라난다. 나도 그리고 당신도.. '
팀 보울러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이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