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 시간은 갈수록 내 편이다 - 진짜 내 삶을 찾아가는 일곱 여자 분투기
하이힐과 고무장갑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너무나 자유로워 보이는 멋진 여성이 있는 표지커퍼에 끌려 한참 들여다본 책.
그녀는 도전적인 듯도 했고 그 순간이 아닌 자신의 삶에대한 환희마저 있는 듯 빛나 보였다.
마흔이라... 모 대형서점에 가보니 따로 마흔 관련 코너가 마련돼 있을정도로 근래 마흔에 관한
책이 심심찮게 나오고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참으로 많이들 하는데 대체 마흔이 뭐길래
이렇게 따로 코너가 마련될만큼 의미있게 생각되는 나이일까... 그저 또 하나 앞자리 숫자가 바뀌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해버리고 말 수도 있지만 인생의 절반을 살았고 남은 절반에 대한 책임 또한 따르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저자가 '하이힐과 고무장갑'이라고 돼있길래 처음엔 닉네임쯤 되는줄 알았다.
알고보니 7명의 마흔 언저리 여자들이 모여 비슷한 시기에 글쓰기에 당도하기까지 그리고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그동안의 자신을 돌아보며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탐색하고 실현해가기까지의 과정및 생각들을
책으로 만들어내고자 결성된 팀의 이름이라고 한다. 참 재밌는 이름이다.
자신의 일상과 추구하는 삶의 모습 양쪽 면을 상징적으로 지은 팀 이름인걸까? 아니면 수면위에서는 우아하고
여유로워보이지만 수면 아래에선 열심히 파닥거리고 있는 '백조'같은 의미를 지닌걸까?
나는 혼자 그 재밌는 팀이름에 관해 생각해보기도 했다.
이 책의 서문에는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살기를 소망하며 앞으로 글을 쓰고 나누는 일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보통 여자 일곱명의 글이다. 갑자기 평온하던 삶이 혼란스럽고,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망설이는 삼 말 사 초의
여성이라면 이 책을 읽으며 마흔의 여정을 잠시 엿보는 것은 어떨까?' 라고 되어있다.
성공스토리를 기대한다거나 대단히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기대한다면 이 책은 그것들과는 다르다.
다만 때론 돌아서서 공허하다고마저 느끼는 아줌마들끼리의 수다보다는 이 7명의 삶과 생각의 전환과
그 전환시점에 취한 돌발적? 행동들이 그리고 앞으로 걸어나갈 길을 모색하고 고민해보고 하는 글들을
읽으며 어떤 대목에선 공감하기도 하며, 어떤 대목에선 속이 후련해지도 하는 등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잔잔한 계기가 될 수 있는 책이라 생각된다.
달나무의 '마흔, 엎드려 울었다'는 글에서는 엄마에서 에미로 거듭나면서 겪는 내면의 갈등들 그리고 결국
아이의 세번째 입원을 계기로 워킹맘을 그만두고 아이를 돌보는 것을 주된 일로 택하기로 결심했지만
다른 워킹맘들을 보거나 경제적인 것을 생각하면 자신보다 엄마 자리를 선택한 것을 후회하지 않을까
가보지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것은 어쩔수 없다 다만 그것이 그 순간의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여겨질 수 있도록 앞으로 최선을 다해 살아가겠노라고 되어 있는데 나 역시 아이를 키우며
매일같이 드는 생각인지라 참 공감이 갔다.
젠느의 '굿바이 페르소나'라는 글에서는 사회적 간판 그리고 외부에서 인정받고 대우받는 모습으로서의 내가 아닌
진정한 모습은 결국 능력보다는 자신의 '선택'이라며 그동안의 모든 걸 접고 글 쓰기에 전념하기로 한 이야기가 있다.
그러면서 끝부분에는 신달자 씨의 글을 인용해놓고 있는데 이 말은 나이 불문하고 자신의 길을 찾고자 하는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같아 여기 옮긴다.
'뭘 했다'라는 결론은 생각하지마라. '내가 하고 있다'라는 과정을 즐기다 보면 결국 무엇이 되는 것이다.
위 이미지는 나무의 '결혼 안식 휴가, 180일의 쉼표'중 나오는 이미지인데 내가 늘 소망하는 모습이라
보고있자니 그렇게 좋을 수 없었다. 내용은 만성 두통이 있었는데 6개월간 딸이 있는 벤쿠버에서 휴양해보기로
남편과 시어머니 동의하에 벤쿠버로 떠났는데 그곳 공항에 내린 직후 거짓말처럼 그 두통이 사라지더란다.
그 행복했던 180일뒤에 가족과 자신의 자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고 여유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많은 주부들이 꿈꾸지만 선뜻 해보지 못하는 결혼 안식 휴가아닌가! 정말 부러웠다. 살다가 꼭 한번 해보리라...
나무의 '꿈을 이루는 지도를 만들다'에서는 어느날 친구 세명이서 '보물지도'라는 책을 읽고
각자 꿈의 목록을 만들어 본 이야기, 그러면서 꿈이란 젊은이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나이든 사람일수록
꿈을 찾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금 이 순간을 놓치면 내 꿈이 뭔지도 모르고 인생을 끝낼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아찔한가?라고 돼있다. 또한 앞부분에서 달나무의 '중요한 건 내가 누구냐는 거지'에서도
하고싶은 일 100가지를 적어놓고 하나씩 실현시켜 보는 것에 관해 적어놓고 있는데
나도 나름 큰 꿈은 있긴한데 이렇게 한번도 기록해본 적은 없다는 것에 생각이 미처 이 기회에 꿈의 목록
하나쯤 만들어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젠느의 '오피스텔 월세로 빌린 여자'에서는 그동안 하고싶었던 것을 퇴직을 계기로 실천해본 것에 대해 통쾌했다.
그러면서 생각과 현실의 차이를 체험을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된 것에도 공감이 갔다.
안토니아의 '나에게로 돌아가는 시간'에서 하루 2시간 자신만의 시간을 갖는다는데 그 시간의 중요성은
너무나도 공감이 갔다. 그리고 인순이의 노래 '거위의 꿈'을 들으며 눈물이 흘렀다는 부분에서는 어쩜 이렇게
내 마음과 같을 수 있을까 싶었다.
내 경우는 위의 글들이 와닿았지만 다른 이는 또 다른 글들을 보며 자신의 삶에 오버랩도 되고, 약간의 자극도
받고 그래 맞다며 통쾌해 했다가 맞장구도 치게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마흔이라는 나이 근처에서 한번쯤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그동안 살아온게 맞는걸까 의문이 생기기 시작할때,
또 절반쯤 살았으니 나머지 절반은 진정한 '자신'을 찾아 나답게 살고싶다고 리셋하고픈 여자들에게
이 책의 일곱명의 공저자들의 어느 글이 잔잔하게 파문을 일으킬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생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