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김덕관 기출에 강한 행정학 - 전2권
김덕관 지음 / 더채움 / 201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기출문제집의 미덕은 혜안에 의해 선택된 문제들과 빛나는 해설에 있다. 해설이 지문의 재진술이거나 답이 뭔지 모를 정도로 모호하다면 곤란할 것이다. 법 과목이나 행정학에서 명확성의 원칙이 특히 요구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빛나는 해설이란 답이 뭔지 알려주는 것 이상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강한행정학은 다른 행정학 문제집과 다르게 첨삭식 해설을 채택하고 있다. 행정학 기출문제집들을 보다 보면 문제에 따라 어느 부분이 틀렸는지 그게 왜 맞는 답인지 잘 모를 때가 있다. 그때 첨삭식 해설은 빛을 발한다. 이 책은 암기용과 이해용으로 나누어 핵심어(구)와 틀린 부분을 정확히 표시한다. 또한 관련 유제들을 보여 문제가 어떻게 출제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기본서, 기출문제집, 요약서는 공시 교재의 필수 도구로 유기적인 연계가 (논리적으로든 시각적으로든) 이루어져야 한다. 법 과목의 경우 목차만으로 정보를 찾기 어려울 때가 많다. 강한행정학은 포인트(주제)별로 번호가 있어 문제를 풀든 요약서를 보든 관련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1900여 문제의 적지 않은 분량을 담고 있다. 회독을 반복하다 보면 회독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마련이다. 이 책의 각 편(파트) 앞에는 목차를 구성하는 포인트(주제)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일람하고 있다. 포인트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거나 문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기출문제 회독법이나 공부방법에 대해서 김덕관 행정학 카페를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만 해설이 일부 빠져 있는 점은 좀 아쉽다. 맞는 답이라도 그게 왜 맞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강의나 게시판 질의로 어느 정도 해소되겠지만 책에서 바로 소화되었으면 한다.

행정학도 법령의 내용을 묻는 문제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본서에서 관련 법령의 목록을 일람해서 조문들을 빠르게 찾아볼 수 있으면 좋겠다. 또한 기출문제집의 별권으로 주요 법령의 핵심 내용들을 OX 문제의 형태로 풀어보는 것도 좋겠다.

강한행정학은 추록 또는 1개년 기출문제집을 내고 있는데, 앞으로 5개년 시행처별 기출문제집이 출간되길 바란다. 모의고사 대용이면서 기출문제 회독을 입체적으로 할 수 있기에 무척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더 나아가 언젠가 지방자치론 교재들도 출간된다면 그보다 좋을 수 없을 것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kki-bap 2020-02-09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꼼꼼한 리뷰 잘 읽었습니다.

비즈 2020-06-18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수험서 리뷰들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죄송하지만 하나만 여쭈어도 될까요? 청아한아이다 님께서 생각하실 때, 김덕관 교재나 함수민 교재들로 강의 없이 독학하는 건 어떤가요? 저 역시 ‘좋은 책‘이 시험에서 정말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인강 없이 ‘좋은 책‘만으로 공부하는 것은 무리수일까요?

청아한아이다 2020-06-18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경제학을 제외하고 보면 공통적으로 교재 중심에 강의 선택으로 가면 된다고 봅니다. 강의는 교재로 채울 수 없는 부분이나 시험 임박 정리용으로 유용할 겁니다. ex.한덕현의 서울시 대비 정리용 특강 등. 아공법이 그러합니다. 개인적으로 교재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비즈 2020-06-18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답변 감사합니다. 찾는 교재들마다 청아한아이다 님의 리뷰가 있어서 서재까지 들어오게 되었는데(그래서 한국사나 국어 기본서에 대한 리뷰도 읽고 싶어졌어요ㅎㅎ) 다른 책 감상들도 정말 즐겁게 읽었습니다. 명료한 문장에 꼭 알고 싶은 부분들을 짚어주는 면까지, 글을 쓰시는 분인 줄 알았어요. :)

청아한아이다 2020-06-18 18: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법 과목의 경우 수험생 대부분에게 행정법의 행정소송, 헌법의 헌법소원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기본강의보다는 요약강의나 특강을 선택하면 됩니다. 강의를 듣더라도 필요한 부분만 선택해서 들으면 됩니다. 각 과목의 핵심 내용이나 빈출 내용은 요약서나 기출문제집으로 파악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