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교토의 1만 년 - 교토를 통해 본 한일 관계사
정재정 지음 / 을유문화사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이 섬뜩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호칭하며 빼앗긴 자국 영토로 규정하고 이를 국제심판소에 제소하여 우리로 부터 빼앗으려하는 아베정권의 후안무치한 행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 섬뜩하기는 커녕 가소롭기만 하다. 하지만 드러내지 않은 곳에서 우리에 대한 영향력을 재현 내지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나 미세한 것까지 이해하려는 노력들이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나타날 때가 종종있다.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일본의 고증이나 연구실적은 우리 사학계의 성과에 못지 않을 정도라고 하니 아무리 일제치하 강점기에 우리의 역사를 접할 기회가 많다고 하더라도 치밀함에 있어서는 일본인을 경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한일관계는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위치만큼이나 애증관계로 점철되어 있다. 거의 증오에 가깝지만 말이다. 하지만 일본은 그만큼 우리와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아주 오랜기간 교류해 왔고 영향을 끼쳐왔다. 고대문명의 전달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없었으면 지금의 일본 역사는 그만큼 오래되지 못했을 것이다.

역사상으로나 정서상으로 일본에 대한 반감은 우리의 가슴 안에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일본을 외면하기만 한다면 일본과의 전향적인 관계 설정에 있어서 더욱 멀어지기만 할 것이다. 일본은 결코 가까이 하기에 쉽지 않은 나라지만 그렇다고 멀리해서도 안될 존재임은 현재의 국제정세 속에서 더욱 절감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분명한 사죄가 전제되어야지만.

 

도쿄가 일본의 수도이고 정치, 경제의 중심이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과거 일본 역사에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는 교토다. 그만큼 교토는 우리와의 문화교류에 있어 가장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며 그 유적도 많이 남아 있는 편이라고 한다.

 

<서울과 교토의 1만년>은 한일교류사의 일본측 중심지였던 교토의 유적, 유물에 대한 답사기이다. 저자는 한일간 교류와 역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많은 저술활동을 통해 쌓아온 역량을 이 책에서 유감없이 발휘한다. 한일교류사가 물론 1만년이나 되지는 않았다. 그만큼 오래되고 또 긴밀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만큼 교토는 일본 역사의 정수이자 한국과의 관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상을 갖고 있음을 독자들이 인식했으면 하는 바램이었을 것이다. 게다가 백제, 신라, 가야, 고구려 등 한국의 도래인이 많이 살았던 지역이 교토였으며 천년간 일본의 중심역할을 하면서 자연스레 그들이 일본 문명에 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교토에는 한국의 영향이 남아있고 교류사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위상을 갖고 있다.

 

교토 문물에 대한 다양한 사진, 삽화를 곁들여 독자의 이해를 높이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일본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흥미와 유용함 면에서 높은 가치를 가진 책이라고 인정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