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기획의 정석 - 발상력을 높여주는 1,000가지 아이디어 노트
강석태 지음 / 타래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직장인은 물론 사업을 하는 사업가들도 늘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것이 바로 새로운 아이디어일 것이다. 시장을 선도하고 혁신하는 정도의 획기적인 아이디어까지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늘 회사에서는 매출 신장을 가져다줄 신상품은 물론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부단히 요구하고 또 압박한다.

 

하지만 대부분 겪었던 경험을 떠올리자면 생각나지 않는 아이디어를 쥐어짜느라 엄청난 고생을 했으며 어쩌다 나름 참신한 아이디어라고 생각되 과감하게 회의때 언급하면 여기저기 성공가능성이 희박하네, 타당성이 부족한 그야말로 헛다리 짚는 기획이네 하면서 구박받기 십상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심리적 압박은 물론 현실에서는 기운만 빠지게 만드는 아이디어 구상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아이디어 기획의 정석>은 국내 유수의 IT기업에서 서비스개발 및 신사업 담당을 맡고 있는 저자가 오랜 동안 다양한 아이디어를 서비스 상품화하기까지 자신이 쌓아온 노하우와 그 사례를 통해 아이디어 기획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실용화해야 할지를 조언해 주는 책이다.

 

우리는 흔히 대단한 발상이나 아이디어가 마치 고대 그리스 과학자이자 철학가인 아르키메데스가 부력을 발견한 목욕탕에서의 유레카와 같은 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그러한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선입견임을 일깨워준다. 아이디어는 어느 일순간에 번개처럼 뇌리를 스쳐가는 찰나의 포집이 아니며 부단히 반복하는 사고를 습관화한 노력이 베어 있는 과정이란 것을.

 

마치 호수위에 고요한 모습으로 노니는 백조가 정작 수면 아래에서는 쉼없이 자맥질을 하는 발갈퀴가 있음에 가능했다는 것처럼 우리는 일상에서 늘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는 생각의 연속선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저자는 매일 일정시간 아이디어를 기획하는 시간을 갖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설익은 아이디어라도 노트에 부단히 기록함으로서 이를 구체화하고 필요시 아이디어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의 구상도 가능하기 때문이란다.

 

결국 백데이터(아이디어의 갯수)가 많을 수록 구체화하고 실현가능한 아이디어의 발견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고 저자는 아이디어 기획노트에 적어도 1000개의 아이디어를 기록하라고 권한다. 저자는 이러한 과정을 스티브 잡스의 인터뷰를 통해 각인시켜준다. 아이디어 구현과정에서 배움과 동시에 포기해야 할 것도 발생하게 되며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이런 모든 문제와 부딪히면서 원하는 과정에 도달하기까지 5,000가지가 넘는 개념들을 새롭고 다른 방식으로 끼워 맞춰야 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바쁜 직장생활 속에서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한 것은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는 공통점일 것이다. 그렇기에 저자는 짜투리 시간을 주목했고 그 시간을 아이디어 구상에 투입함으로서 수많은 아이디어 뱅크로서 기획노트를 만들었고 이를 계속 활용한다고 한다. 우리도 못할 것이 없다. 관건은 당장 이를 실현하느냐의 문제일 뿐.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의 아이디어 구상을 통해 탄생한 다양한 서비스(톡간편주문 등)를 소개하면서 매력적인 상품 아이디어 개발법 등 아이디어 구상을 어떻게 실제로 상품화하는지 과정도 설명해 준다. 여러모로 쏠쏠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