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읽는다 - 금세기 최고 멘탈리스트의 강력한 신체언어 규칙 16
토르스텐 하베너 지음, 송경은 옮김 / 마일스톤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인간은 상대의 진의를 파악하기 위해 애써왔다. ‘지금 나한테 한 발언이 무슨 의미일까?’. ‘왜 심각한 상황에서 엉뚱한 말로 혼란스럽게 하지?’.... 상대와는 언어로서 소통하지만 그 언어가 때로는 진의는 커녕 속마음을 헤아리는데 안갯속을 헤메이게 하는 것처럼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미국의 심리학자 앨버트 머레이비언 교수는 이미 1967년에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언어를 통한 메시지가 아주 미미하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한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언어적 신호를 통해 우리가 상대방에게 주는 영향력은 단 7%에 불과하단다. 38%는 목소리 톤 같은 부언어적 신호고 55%는 신체언어, 즉 비언어신호라고 했다. 결국 다른 사람에게 감정과 메시지를 전달할 때 비언어적신호가 93%에 달하고 말로 전달하는 신호는 7%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 결과를 감안한다면 우리는 상대의 말 속에 담긴 진의를 파악하는데 애쓰기 보다 상대의 행동이나 몸짓, 신체적 습관 속에 담긴 메시지와 특정 상황하에서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훨씬 더 상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그렇다면 신체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언어를 파악하는 기본 능력은 어디서 비롯할까? 사람의 신체에서 비춰지는 의사표현만으로 상대방의 의도를 정확히 찝어내는 행동심리학자이며, 놀랄만한 스케일과 잊지못할 퍼포먼스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멘탈리스트인 토르스텐 하베너는 <생각을 읽는다>를 통해 관찰-인지하기라고 말한다. 상대방의 어디를 봐야 할지 아는 데서 그가 말해 왔던 행동심리학이 시작되는 것이며 상대의 현 감정상태나 의도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단다. 하베너는 언어로 말하는 것과 신체적 행동으로 말하는 것을 언어, 부언어, 비언어적 신호로 구분해서 비언어적신호 속에 담겨진 의도를 읽어내는 트레이닝을 <생각을 읽는다>를 통해 진행한다.

 

상대방의 몸짓과 표정, 의상스타일 속에서 마음을 읽을 수 있다면 또한 반대로 이를 통해 타인의 호감을 얻을수도 있다고 저자는 조언한다. 페이스북에서 기타를 들고있는 사진 한 장으로 음악적 감성이 풍부한 로멘티스트로 나를 포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고 실제로 실험을 통해 입증해 냈다.

저자는 신체언어의 비밀과 패턴을 16가지 주제로 나누어 설명한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우리가 제일 관심있어하는 분야가 이성과의 교제에서 나타나는 진심에 대한 갈망임을 저자는 잘 알고 있는지 데이트 상황에서 상대의 신체적 신호속에 나타난 진의를 파악하는데 좋은 역할을 하고 있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신체적 언어를 체득하기 위해서 대단히 많은 시간, 예를 들면 아웃라이어(말콤 글레드웰 저)에서 언급한 마이스터가 되기 위한 1만 시간정도가 필요하지 않다고 충고한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미 1만 시간 이상 다른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타인의 행동패턴을 관찰해 왔기 때문이란다. 그렇기에 16가지 방식을 체득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므로 과감하게 나서라고 조언한다.

 

신체적 언어에 대한 통역은 전문가의 영역만이 아님을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이 책을 통해 미리 공부한다면 상대의 언어적 신호만으로 진의를 파악하는데 애쓰거나 오판했을 때 벌어질 수 있는 큰 부작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한마디로 저자의 이력만큼이나 매력있고 흥미진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