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즈번드 시크릿
리안 모리아티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살아 온 삶을 돌아보면 문득 떠올리게 되는 순간이 있다. 그리고 그 순간에 지금까지 흘러온 삶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인도하게될 결정을 하였다면 어떤 삶이 펼쳐졌을까 하는 의문에 사로잡히곤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선택의 순간, 내가 책임져야 할 선택이지만 때론 후회와 자책에 빠져 스스로를 원망하게 하는 선택도 있을 것이다.

 

완벽한 남편을 둔 한 아내는 깐깐한 시어머니한테도 잘하면서 발랄하고 이쁜 세 딸과 함께 행복 속에서 하루하루를 보냈다. 적어도 다락방에서 우연히 발견한 편지봉투를 보기 전까진...

 

<허즈번드 시크릿>은 남편의 편지 겉봉투에 쓰여진 반드시 내가 죽은 뒤에 열어볼 것이라고 적힌 메모로 인해 펼쳐 진, 마치 판도라의 상자와 같은 이야기다. 누구보다도 잘생기고 능력있으며 예의범절이 넘치는 남편을 둔 세실리아는 늘 행복에 겨웠지만 그 편지봉투로 인해 남편에 대한 실망감, 불신, 죄책감에 시달린다. 이 책은 또 하나의 가족 테스와 윌의 위기도 그려내며 선택이 가져온 예기치 못한 운명에 대해 독자들에게 화두를 던진다.

 

편지봉투에 적힌 메모와 남편의 반응만으로 그리고 세실리아가 판도라의 상자를 열기 전에 이미 등장하는 상처입은 인물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독자들은 충분히 이 올 것이다. 스릴러도 서스펜스를 가미한 소설이 아니고 가족간의 상처와 이를 해소해 나가는 과정을 더 강조했기 때문에 남편의 메모가 가져올 충격파도 예상보단 크지 않았다. 테스, 윌 부부가 그리는 중년의 위기도 통속적인 묘사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예상을 뛰어넘진 않았지만 마지막 클라이막스 부분에 배치한 저자의 출구전략’(?)은 너무 뻔하지 않을까? 실망스러운 점을 그나마 에필로그에 있는 3페이지에 걸친 에피소드가 실망스러운 면을 충분히 상쇄해 주었기 때문에 그래도 만족스럽지만 독자들에게 궁금증을 유발시키는 도입부의 참신함을 잘 살려내는데는 상상력과 스토리텔링에 부족함이 있지 않았나 싶다.

 

여성의 시각에서 여성의 관점을 읽어 낸 이야기 전개를 고려할 때 여성 독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지 않을까 싶다. 모성애와 부부관계에서 오는 배신감, 옛 연인에 대한 애틋한 감정 등은 현실을 살아가는 여성들 누구나 한번 쯤은 겪을 만한 일이기 때문이다. 비교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패턴과 소재로 찾아오는 기욤 뮈소의 소설이 가져다 주는 피로감은 없기 때문에 그래도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읽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