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념을 넘어 이성의 시대로 -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사람들의 실전논리
문성규 지음 / SensibleNews(센서블뉴스)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몇일 전 재보궐 선거가 끝났다. 미니총선이라 불릴만큼 재보궐 선거구도 많았고 얼마전 지자체선거까지 겹쳐 3개월간 선거정국이었던 국내 정치가는 세월호 참사로 야기된 정권심판론과 ‘노인층의 아이돌’ 박근혜 정부에 대한 재신임여부를 가리는 리트머스와 같인 총선에 올인하면서 개인의 정치생명은 물론 차기 대권의 향방마저 가늠할 시험대에 올랐다. 결과는 야당의 참패, 참패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고질적인 병폐로 드러난 전략공천에 따른 공천파동과 청년층과 중년층의 투표율 저조에 따른 여권의 우세였다.
흔히 정치는 ‘더럽다’고 표현한다. 한마디로 이해타산에 따라 헤쳐모여를 거듭하면서 적의 적은 내 동지이자 영원한 적도 친구도 없음을 극명하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자. ‘강호의 도리’라는 정의의 실체가 무얼까? 단순하다. 살아 남는게 강한 것이다. 중용이나 대의를 앞세우는 것이 중요하다지만 끊임없이 견제하거나 도전해 오는 세력과 맞서기 위해서는 이전투구가 필요할 때도 있다. 그것이 비정한 현실이다. 하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이념을 넘어 이성의 시대로>은 이처럼 현실속에서 부닥칠 수밖에 없는 다양한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때론 상대를 제압하거나 지혜롭게 관계를 개선하는 등 현명한 처세를 위해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례 등을 바탕으로 설명해 주는 책이다. 전략, 관계, 논술, 처세, 조직, 싸움, 인식, 상술 등 8개 카테고리에서 총 200여개의 상황을 설정하여 대응 방식을 충고해 주는 이 책은 현실적으로 맞닥뜨리는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조언이 필요함에도 막상 큰 틀에서 관용을 베풀라고 하거나 추상적인 충고로 일관된 책들에서 오는 실망감을 해소시켜주는데 확실한 역할을 한다.
읽다보면 ‘뭐야? 이런 정도는 나도 구사할 수 있는데?“하는 충고들도 있지만 전체적인 맥락을 감안할 때 상황발생에 맞춰 순발력있게 대응해 나가는데 쉽게 구사했다고 자부할 수 있을까? 특히 언론과의 대응이나 강력하게 압박해 오는 상대(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의 질의 등)의 예봉을 지혜롭게 피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하는 스킬 등은 오랜 언론기자 생활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그들의 스타일을 자연스레 접해 온 저자가 아닌 이상은 쉽사리 공감하기 만만치 않은 주제들을 간명하게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은 8개 주제별로 간단한 사례와 함께 짧고 간결한 설명을 통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따라서 글의 전후를 읽어야지 그 맥을 잡을 수 있는 다른 책들과 달리 어느 주제 어떤 사례를 펼쳐서 읽더라도 상관이 없으므로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쪽집게식 강의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