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형 장사의 神 ㅣ 장사의 신
김유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4년 3월
평점 :
삶이 팍팍해 지는 이유중에 하나는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진데도 있다. ‘사오정’으로 불리우는 40대 명예퇴직자들은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래 대부분 사무직들로 구성된 이들인데 퇴직후 제2의 인생을 살기에 참 막막한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대부분 시작하는 것이 먹는 장사. 하지만 세상일이 어디 만만한게 있겠는가? 손에 쥐어진, 몫돈으로 보이던 퇴직금을 쏟아 부었건만 장밋빛 미래로 보였던 음식장사에서 고배를 마신 채 물러나는 이들이 열에 여덟아홉은 된다고 한다.
쉬워(?) 보였던 요식업, 머리 꾀나 굴릴 줄 알았던 나도 뛰어 들면 초기 시행착오야 각오하더라도 조만간 정착하고 훌륭한 사장님 소릴 들을 것이라 예상했었는데 계속되는 실패는 이제 더 이상 장사를 하기에도 어려울 정도로 자본금도 자신감도 줄어든 후다. 어떻게 난관을 헤쳐나가야 한단 말인가?
<한국형 장사의 신>은 푸드컨설턴트이자 21년간 음식 관련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으며 13년간 성공시킨 음식점이 100여곳이 넘는 말그대로 ‘장사의 신’이 장사에 대해 조언하는 힐링 프로그램이다.
이 책은 음식장사를 성공한 이들의 고군분투는 물론 왜 성공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장사 마인드는 물론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아이디어 최강 메뉴와 다양한 마케팅 기법 등을 조합하면서 장사를 준비하는 이들은 물론 뼈아픈 시행착오를 겪은 이들에게 사전 유의점을 알려줌은 물론 스스로를 되돌아 보면서 실패의 이유를 찾도록 한다.
그의 꼼꼼한 조언은 여기에만 그치지 않는다. 훌륭한 메뉴아이디어는 물론 나름대로 운영 노하우를 갖췄더라도 골목길 창업에서 필요한 유동인구에 대한 분석은 필수. 그러기에 상권분석을 통해 적절한 메뉴와 가격대 결정, 아이템 선정 등을 어떻게 이끌어 나가야 할지 충고한다. 특히 좋은 상권이라면 컨설턴트나 부동산업자들이 추천하기보다 자신들이 먼저 할 것이라면서 중소기업청 ‘상권정보 시스템’을 통해 유동인구를 파악하고 상권분석에 나서라고 조언하기도 한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음식장사를 하는데 고충의 원인인 진상 고객에 대해서 언급한다. 그리고 그 유형인 ‘진상 10적’이 있음에도 장사를 하고 싶다면 이 책을 펼쳐들기를 권한다. 온갖 어려움 속에 거두는 성과의 만족감이 큼은 누구나 다 알 것이다. 먹는 장사를 통해 돈도 벌고 자신의 꿈도 실현한다면 그깟 진상 고객 쯤이야 질끈 두눈 감고 이겨 낼 수 있으리라. 인생을 걸었는데... 이런 어려움은 당연히 감수해야 할 고난일 것이다.
쉬운 일은 어디에도 없다. 자신의 가족에게 먹일 수 있다면 MSG 조금 치는 정도야 괜찮다(MSG에 대한 언론보도로 거부감을 갖고 있지만 이에 대해 세계 유수의 의료기관 어느 한군데도 유해성을 확인해 주는 곳은 없다)는 융통성도 갖으라는 저자. 파워블로거라는 위치를 이용해서 음식점에 무리한 요구나 음해를 일삼는 ‘B급 블로거’들에게는 가차없이 대응하라는 단호함도 갖는 저자의 조언에서 창업자들은 음식 장사 전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리는데 충분한 도움이 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