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장은 왜 밤에 잠 못 드는가 - 심리학자가 풀어낸 현장 리더들의 가장 골치 아픈 문제들의 해법
니콜 립킨 지음, 이선경 옮김 / 더숲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늘 고민한다. 사회의 축소판인 직장에서 맞닥뜨리는 원치 않는 사건의 중심에는 늘 사람vs사람이 있다. 그리고 그 링에 한편에는 본인이 있다. 상대가 상사건 부하직원이건 잘 나가는 동기이건 간에...
그런데 우리는 종종 좌절한다. 아니 무수히 좌절한다. 인정받는, 능력 있는, 좋은 상사이고 야망이 있는 자이길 바랬건만 잔인하게도 현실은 늘 배신한다. 왜일까? 혼자 누구에게 털어놓지도 못하고 끙끙앓는 고민인데 이런 고민을 리더십과 심리학에 있어서 대가였던 저자도 혼쭐이 났었다는 고해성사가 서문에 나온다. 저자가 자신 또한 우리들이 늘 겪었고 겪고 있는 고민에 한가운데 있었다는데 동질감을 느끼지 않을 샐러리맨들이 있을까?
<사장은 왜 밤에 잠 못드는가>는 조직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에게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면하는 고민들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속시원히 위로해 준다. ‘이보시게 이제 실행해서 스스로 더 터득하시게나’라고 조언하듯...
이 책 서문에서 저자가 담담하게 집필의도를 내비칠 때 딱 1년전 겪었던 부하 여직원과의 에피소드가 데자뷰처럼 떠올랐다. 그리고 이 책에 나오는 항목들의 나쁜 사례를 반복했다. 좋은 상사이길 바랬지만 나쁜 상사로서 그 직원과의 관계가 망치게 되었고 타인의 조언에 귀기울이기에는 악화된 관계의 개선에만 매달리느라 한쪽 귀로 흘려버렸으며 회사 동기의 발언에 갑자기 부러움이 질투화하여 쓸데 없는 경쟁에 서로 지쳤으며 팀은 구렁텅이로 빠지게 되었다.
이쯤해서 이 책을 그때 알았으면 달랐을 것이란 뼈저린 후회는 아니다. 결국 이에 대해서 저자가 충고하듯이 내 생각과 동이 문제라는 점을 인정하고 생각과 행동의 원인을 파악해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앞으로도 실수를 하겠지만 예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실수를 다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에서 늘 반복될 수 있는 어려움을 어떻게 최소화하고 빈도를 줄이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동일한 고민에 직면하는 우리들 모두가 스스로 인간임을 인정하는데서 문제해결의 출발점을 삼을 것을 조언한다. 인간이기에 한계가 있으며 완벽한 인간이 될 수 없으므로 늘 냉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늘 멘토같이 자신의 오류에 대해 조언할 수 있는 이들을 곁에 두고 또 자신도 그런 역할을 타인에게 해야 한단다.
자신의 멘토로서 조언하는 역할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상대에게 먼저 신뢰감을 줘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늘 말하기 보다 더 듣는 것에 주안점을 둘 것을 말하며 좋은 경쟁이 점차 상대의 약점과 한계에 집중하면서 상대에게 모욕감을 주는 소모적인 나쁜 경쟁에 빠지지 않도록 팀원간에 이기고 지는 관계를 하루빨리 탈피해서 서로 윈윈이 되는 상호협력관계로 전환토록 방법을 알려준다.
또한 실수를 하지 않고 현상을 유지하는게 낫다고 판단하면서 복지부동으로 연결되는 조직의 경직성, 즉 변화를 거부하는 상황을 기회라는 프레임으로 구성원들을 유도하면서 헤쳐나갈 것을 충고한다. 이외에도 스트레스에 대한 현명한 대처와 나쁜 팀으로 몰락하는 조직을 구하는 방법 등 사장 뿐만 아니라 중간관리자는 물론 미래의 그 역할을 할 사회초년병들한테까지 좋은 귀감이 되어 줄 것이다.
결국 비즈니스는 사람이고 우리는 시기의 문제일뿐 언젠가 사람을 다룰 위치나 역할을 부여받을 것이기에 저자의 조언은 결코 흘려버릴 ‘남의 일’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