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 세계
츠다 켄지 지음, 한선주 옮김 / 시그마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엔비디아(NVIDA)PC용 게임에 익숙한 이들에게 우선 그래픽카드 제조사로서 AMD사와 쌍벽을 이루는 지포스와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연상하게 한다. 고사양 게임을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해서는 그래픽카드의 저전력 소모와 높은 해상도 등이 필수다. 그런 면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가 대세인 요즘 엔비디아의 급부상은 예상치 못한 모습이기도 하다.

 

엔비디아는 반도체 엔지니어 젠슨 황이 설립한 회사로 유명하다. 지난 20235월 엔비디아가 반도체 기업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한 이래 지난해에는 무려 3조 달러를 돌파했다. TSMC는 물론 엔비디아까지...이제는 삼성전자의 존재감은 점차 옅어져 가는 듯해 안타깝기만 하다.

 

<NVIDA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세계>의 저자는 40년 이상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취재하면서 바라 본 엔비디아의 과거현재미래, AI반도체 업계 현황, 그리고 향후 AI 세계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엔비디아는 반도체 엔지니어 젠슨 황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동료인 크리스 맬러카우스키, 커티스 프림와 설립한 회사다. 지난 20235월 엔비디아가 반도체 기업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해 3조 달러를 돌파했다. 향후 AI혁명은 DeepSeek와 같은 중국의 AI혁신 업체들도 있지만 당분간 엔비디아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엔비디아의 GPU가 있었기 때문에 챗GPT 등장이 가능했고 AI가 전 세계 각국의 당면 과제가 되었다고 진단한다. , “엔비디아AI반도체라는 공식까지 성립시켰으며 앞서 언급했듯이 게임용 그래픽카드를 만드는 회사 정도로 알려져 왔던 회사가 향후 AI혁명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기업이 됐음을 상세하게 설명해 준다. 향후 엔비디아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이 책이 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