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가 묻고 니체가 답하다 - 비관마저 낙관한 두 철학자의 인생론
크리스토퍼 재너웨이 지음, 이시은 옮김, 박찬국 감수 / 21세기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자기개발 분야의 서적이 독자들의 관심이 잦아든 이유 중의 하나는 소위 김난도 교수식의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식의 본인에게서 원인을 찾으라는 말에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 개인의 의지와 인내만을 강요하는 전형적인 자기개발서인 <아프니까 청춘이다> 탓에 실제로 고생하며 살다가 명성을 듣고서 읽어본 독자들의 반감을 샀던 것이다.

 

논란을 뒤로하고 어찌됐든 자신에 원인이 있음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생은 고통의 연속이며 인간 존재의 근본을 '의지'로 설명하고, 이 의지가 끝없는 욕망을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통을 초래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쇼펜하우어가 최근 철학과 자기개발 분야 서점가를 휩쓸고 있다. 이러다보니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계승한 니체의 철학도 각광받고 있다. 고통을 과감히 수용하고, 더 강한 존재로 거듭나야 한다고 역설한 니체의 철학까지...<쇼펜하우어가 묻고 니체가 답하다>는 두 철학자의 사상을 분석하고 비교하면서 인간의 삶에서 고통과 의미를 진지하게 묻는 책이다.

 

이 책이 눈에 띄는 점은 철학에 대한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들을 위해 유명한 문장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철학적 조류의 등장이 어떤 배경을 갖고 있으며 특히 현대인이 갖는 불안과 위기의 본질을 가장 명확하게 분석하고 이해시킬 수 있음을 독자들에게 확신을 갖게 만든다.

 

책 분량은 많지만 그래도 최대한 독자들에게 두 철학가의 사상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게 돋보인다. 또한 반대되는 가르침 보다는 서로 보완성이 강한 두 철학가의 특징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준다.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욕망과 고통을 냉철하게 분석했고, 니체는 이러한 현실을 인정해야 하며 동시에 극복하는 방법도 찾아내는데 주력했다. 꼭 읽어보시기를 권하고 싶다. 인생의 고통을 우리가 어떻게 잘 다뤄나가야 할지 정말 잘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