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 단편선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김이랑 옮김 / 시간과공간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문학사에 큰 업적을 남긴 러시아의 문호 레피 톨스토이, 그가 집필한 문학서적은 지금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으며 회자되고 있다. <부활>,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리나>같은 불세출의 장편소설도 여전히 작품성에 감탄하지만 그가 사상가이기도 했다는 점은 다소 모르는 독자들도 많은 듯 싶다. 하지만 <고백>, <참회록>등의 저서는 인간의 삶과 존재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을 되새겨 주는 사색의 책이기도 하다. 그런 그가 단편선 역시 집필했다는 점은 긴 호흡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보여주는데서 그치지 않고 인간의 삶을 단편에 담아 존재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담아냈다.

 

<톨스토이 단편선>은 그의 단편집 중 유명한 작품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바보 이반>7편의 단편을 담았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서는 주인공 세몬이 우연히 구해주고 집으로 데려온 미하일의 이야기를 통해 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는 질문에는 결국 사람의 마음 속에는 사랑이 있음을 깨닫게 되고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에는 사람에겐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가를 아는 힘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사람은 결국 사랑으로 산다는 이 세 가지를 알게 되면서 미하일이 실은 천사 미카엘이었음을 드러나게 한다. 그리고 세몬과 아내 마트료나, 아이들에게 결국 사람은 자신에 대한 걱정이 아닌 사랑으로 살아감을 인식하게 만들며 끝난다.

 

<바보 이반>에서는 러시아의 전설을 모티브로 새롭게 창작한 작품이다. 톨스토이는 바보 이반이 농부에서 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통해 무위도식하는 귀족들이 힘들게 살아가는 농민들을 착취하고 있다고 비판하는데 자기 몫만 챙기려는 계산 빠른 사람들보다 바보 이반처럼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훨씬 더 행복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도둑의 아들>, <에멜리안과 북>, <첫슬픔> 등 단편들은 하나같이 모두 독자들에게 인간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선사한다. 장편과 다른 단편의 묘미, 우화적인 이야기들을 통해 어른들의 동화를 만들어 내는 톨스토이의 단편작품들은 우리에게 순수함을 다시금 되새길 시간을 주는게 아닐까 싶다. 장편을 읽는 부담도 없이 대문호의 사상적 스펙트럼 속에 빠져드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