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의 문장력 - 매일 쓰는 말과 글을 센스 있게 만드는 법
김선영 지음 / 더퀘스트 / 2022년 11월
평점 :
흔히 ‘손안에 세계’를 구현했다고 표현하는 스마트폰과 IT기기의 등장은 전세계 많은 이들에게 (모든 정보가 다 유용하고 정확하진 않지만) 정보의 바다에서 유용한 지식을 얻는 형평성을 보장받게 되었다. 하지만 생각지 못한 부작용도 많은데 특히 ‘콜포비아’(통화공포증)처럼 음성 대화를 하기 어려운 이들이 젊은 층을 위주로 늘어난다. 오히려 문자대화에 더 익숙해 메신저를 선호하게 되는게 아닐까 싶다. 하지만 그렇다고 문자 대화가 더 풍부해 지는 것이 아니다. 모든 빠르게만 진행하고 싶은 이들에게 문자대화가 답답하긴 마찬가지. 컨트롤c해서 컨트롤V하는 것이 많다보니 웃지 못할 헤프닝도 많다는 것이다.
결국 문자대화를 통한 의사소통에서 오해를 낳거나 오해가 생길만한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는 성인이 되었다고 해도 문장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이다. <어른의 문장력>은 바로 문자를 기반으로 의사소통이 더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해야 더 잘 만든 문장으로 상대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지 설명해 주는 책이다.
저자는 우선 3가지를 갖추라고 조언한다. 장황하거나 중언부언하지 않으려면 대화목적을 확실히 해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는 문장을 구성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글의 타깃을 정해 대상의 수준과 특성을 파악한 후 잘 맞는 문장을 만들어야며 결국 읽는 사람을 편하게 해주는 배려가 깃들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자신이 방송작가 시절 경험했던 에피소드나 글쓰기 모임에서의 일을 바탕으로 이 책을 구성했는데 현실감 있는 조언의 바탕으로 작용한다. 5개 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특히 유의할 부분은 2장의 소통하는 문장을 제대로 쓸 때 나타나는 유익한 부분과 4장에서 블로그, 페이스북, 이메일 등 각종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특성에 어울리는 문장 구성방법은 꼭 배워야 할 부분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문서 작성에서 골머리가 아프고 상대방을 불쾌하게 할까봐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꼭 유용한 책이 아닐 수 없다. 많은 분량도 아니지만 문장을 만드는데 염두에 둬야할 모든 부분을 소개하는 이 책의 역량은 책을 다 읽고 나면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