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이 조조에게 말하다 1 -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다 ㅣ 심리학이 조조에게 말하다 1
천위안 지음, 이정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11월
평점 :
아마 나관중의 삼국지(정확히 삼국지연의) 만큼 많은 문학가들에 의해 다시 해석되어 출간되거나 삼국지 인물을 대상으로 새롭게 재해석해 접근하는 책들이 무궁무진한 것도 유사한 사례를 찾기 어려울 것이다. 그만큼 삼국지는 중국 역사에서 상당히 매력있고 그들의 치열한 음모술수와 목숨을 걸고 싸우는 전쟁은 수천년이 지난 지금 현대인들에게도 충분히 반면교사로 삼을 만한 책이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재해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등장인물들의 당시 행보를 토대로 어떤 심리상태였을지 추론하는 시도도 독자들의 관심을 끈다.
<심리학이 조조에게 말하다1 :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다>는 삼국지 주요 인물 조조, 유비, 제갈량, 사마의 등을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인물 열전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조조는 삼국지에서 간웅으로 이미지화 됐지만 정치, 군사 뿐만 아니라 건안칠자에 속할 정도로 뛰어난 문재(文才)를 가졌던 천재였다. 그가 온갖 군벌이 난무하는 난세에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고 결국 위나라를 세우는 압도적인 성과를 얻기까지 많은 사건들이 있었다.
특히 왕윤과 의기투합해 역적 동탁을 제거하려 했던 일과 쫓기는 와중에 여백사 가족을 몰살시킨 사건 등은 혼탁한 세상에서 얼마나 냉정하고 때로는 비정한 인물인지 보여준다. 이런 과정에서 조조가 가졌을 심리상태를 이 책은 찬찬히 분석하고 유추한다. 마치 근대 고고학에서 탄소14를 이용해 유적이나 유물의 제작 시기를 분석하는 일처럼 말이다.
앞으로 이 시리즈는 조조에 이어 제갈량, 관우, 유비, 손권, 사마의 순으로 발간된다고 한다. 과연 심리학이 역사 연구의 또다른 도구가 될 수 있을지 궁금해 진다. 이 책만으로는 접근방식의 신선함과 타당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의미한 결과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