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상가 이건희
허문명 지음 / 동아일보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에 대한 평가는 대한민국 현대 경제사에 대한 평가와 그 궤를 같이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고도성장, 압축성장의 상징적인 존재면서 지금의 대한민국 기업, 글로벌 기업 삼성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공고히 다져 놓은 공로 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에 미친 긍정적인 일일이 열거 하기 힘들 정도로 대단하다. 개인적으로 이건희 회장의 능력과 경영철학은 정치, 군사, 행정은 물론 문학적 소양까지 겸비했던 팔방미인삼국지의 조조를 연상케 하는 위인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있음을 인지하고 있고 부정하지 않는다. 산이 높으면 그만큼 골짜기도 깊은 것이 세상의 이치이므로 이건희 회장이 남긴 유산이 긍정적이지 못한 부분도 있음을 알지만 그것에만 집착하다가 오히려 이건희 회장의 큰 업적과 경영철학, 후세에 남긴 혜안마저 부정한다면 우리에게 다가왔다가 떠난 큰 인연과 많은 도움을 스스로 박차버리는 우를 범하는 것은 더 큰 손실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경제사상가 이건희>의 출간은 반갑고 또 오랫동안 고인의 업적에 대한 평가와 경영철학을 분석하고 또 적용함으로서 우리가 향후 냉엄한 비즈니스 경쟁의 시대에 살아남는데 가장 중요한 조언이 될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계승, 발전해 나가야할 부분일 것이다.

 

이 책은 고인의 1주기를 기념해 생전에 그와 곁에서 동고동락하며 삼성을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이끌었던 이들의 고인을 바라보는 회고록에 가깝다. 항상 미래를 고민하고 걱정하며 결국 답을 찾았던 이건희 회장의 생전은 우리에게 중요한 경영철학이 되기에 충분하다.

특히 프랑크푸르트선언으로 유명한 신경영선포는 그가 기업가에서 사상가로 추앙받는 계기가 되었다고 저자는 회고한다. 마누라, 자식 빼고 다 바꾸라며 변화를 호소하고 미래를 위해 노력하라는 고인의 호소는 당시에도 일등기업이었던 삼성이지만 만연했던 내부 비효율과 이를 시정하지 않는 비도덕적 정서에 대한 일갈이기도 했다고 분석한다.

 

기억에 남는 부분은 손욱 전회장의 회고. 1980년대 말에 소프트웨어 인재 1만 명을 양성하라는 지시에 부랴부랴 채용한 인재들이 몇 년후엔 모두 엉뚱한 부서에서 일하고 있어 큰 꾸지람을 받았던 기억을 하면서 돌이켜 생각해보면 소프트경영을 주창했던 이 회장은 기업인 이전에 사상가이자 철학자였다는 부분이다. 고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고 있는 독자라면 강요하고 싶진 않지만 경영인 이건희에 천착해 그의 업적과 발언, 경영 행보를 들여다 보고 판단해 봤으면 싶다. 어찌보면 우리에게 스티브 잡스를 뛰어 넘은 한 기업인이 있었음이 천운이었음을 인식하고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