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S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1950 미중전쟁 - 한국전쟁, 양강 구도의 전초전
KBS 다큐 인사이트〈1950 미중전쟁〉 제작팀 지음, 박태균 감수.해제 / 책과함께 / 2021년 6월
평점 :
지난해 여름 퇴근후 우연히 〈1950 미중전쟁〉라는 다큐멘터리를 봤다.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기념해 공중파 방송에서 3부작으로 제작한 이 다큐멘터리는 막연히 동족상잔이라고만 생각했던 한국전쟁의 배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받게 되었다. 동족상잔을 넘어 국제전이었고 특히 중국의 참전으로 전쟁의 양상이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당시 3부작 다큐멘터리가 동명의 제목을 갖고 단행본으로 발행되었다. 이 책은 칼러와 흑백 화보를 곁들이면서 한국전쟁 당시의 처절한 모습 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 지식을 넓히는데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단순히 한국전쟁의 배경과 경과, 평가에 그치지 않고 현재 G2로 분류되며 세계를 양분하려는 미국과 중국의 전장터였음을 상기 시킨다. 장진호 전투에서 처음 맞붙게 된 미국과 중국은 중공군의 참전 초기 서울 이남까지 밀리다가 다시 전세를 회복해 지금의 휴전선을 긋게 되었지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단순히 1950년의 미국과 중국간 대리전으로 이해해서만은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이해시킨다.
미국이 참전하지 않았다면 개전초기 파죽지세로 밀려오는 북한군의 공세를 이겨내지 못하고 북한이 원하는 적화통일이 되었을 것이다. 반대로 중국이 참전하지 않았다면 미군과 한국군은 1950년 크리스마스 이전에 북한을 완전히 회복하고 북진 통일을 이룩했을 것이다. 미군과 중공의 참전이 무려 3년이라는 장기간의 전쟁을 낳았고 유엔군까지 가세하는 국제전이 되어 버린 것이다. 비단 한국전쟁 만이 아니라 구한말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 모두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의 첨예한 세력다툼이라고 봐야 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미중간 대립도 결국 우리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우호적이지 않음을 예상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역사를 통해 현재를 들여다 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진리를 다시금 깨닫게 만든다. 지금 우리, 아니면 우리 자손들이 과거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겪었던 참화를 반복해서 겪지 말라는 법은 없다. 우리가 어떻게 국제관계를 바라보고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운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바탕을 감안할 때 유용한 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