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문학의 장르 중 시와 소설,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가들이 플롯, 스토리텔링, 이야기 구성등 글의 뼈대를 이루는 작업에 있어서 하나의 교본과 같은 역할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라 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기원전 335년 아리스토텔레스가 시를 어떻게 써야 잘 쓸 수 있을지 설명해 주는 작시론이다. 이 책은 당시 사람들의 삶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비극을 중심으로 시를 쓰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플롯을 중요시해서 강조하고 있는데 지금의 모든 텍스트 기반의 문학작품들이 갖는 발단-갈등-카타르시스로 이어지는 구성의 원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하고 수천년 동안 작품을 구상하고 쓰는데 중요한 참고가 된다고 한다.

 

예를 들어 플롯의 요소인 반전, 인지, 수난의 경우 아리스토텔레스는 오이디푸스왕을 사례로 들어 설명하는데 이 것만이 아니라 이후 문학작품들 대다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주인공을 둘러싼 사건의 반전이 개연성과 필연성을 기반으로 발생하고 이를 주인공이 인지하면서 주인공과 밀접한 등장인물의 죽음이나 극심한 고통, 상처 등이 동반되면서 수난의 과정이 독자나 관객에게 연민과 감정을 동요하게 만드는 것이다.

 

작품을 만들 때 플롯을 구성하는데 비극만큼 복합적이고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게 용이한 것 아닐까? 고귀한 사람이 행복하다가 불행에 빠지면 거부감부터 들 것이다. 부당하게 대접 받을 때 연민이 생기고 우리와 같은 주인공이 불행에 빠질 때 공포가 들기 때문에 큰 실수나 결함에 따라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는 비극이 적합하다고 한다.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이 지금도 칭송받는 것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설명하는 비극의 프로세스를 충실히 따른 점도 있을 것이다.

 

역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을 통해 재미로 즐기던 비극과 서사시를 철학이자 학문으로 끌어 올렸다고 한다. 인간 사회와 삶에서 진리와 선의 실체를 찾아내고 진정한 행복을 찾는다는 점이 시학의 진정함이라고 할 수 있단다. 서사시가 아닌 비극을 중심으로 시학을 전개한 이유가 여기에 있음을 강조한다. 오랜 고전을 읽는데 큰 부담이 없는 분량이었으며 동시에 작품의 플롯을 구성하는 전통이 유구함을 새삼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