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간신열전 - 지금 우리 시대의 진짜 간신은 누구인가?
이한우 지음 / 홍익출판미디어그룹 / 2021년 2월
평점 :
모든 권력이 황제나 왕으로 지칭되는 유일한 권력자에게 집중되는 고대 봉건시대에는 ‘경국지색’(나라를 기울게 할 미모의 여자)과 간신(奸臣, 姦臣)이 국가체제를 무너뜨리는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삼국지의 배경도 결국 후한 말기 환관의 횡포가 있었기 때문인데 대표적인 간신들이 많았다고 한다. 간신은 신하로서 당연히 갖춰야 할 바른 마음을 내팽개치고 오로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온갖 수단을 써서 군주나 자신이 모시는 주군을 위태롭게 하는 자라고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001711442863491.jpg)
여기서 주목할 점은 특히 온갖 수단을 써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다고 봐야 한다고 <간신열전>의 저자는 강조한다. 즉 자신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점은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합리적인 인간의 행태이므로 이를 간신으로 볼 수 있느냐는 의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간신의 형태를 찬신, 역신, 권간, 영신, 참신, 유신, 구신 등 다양하게 구분하며 대표적인 인물들을 소개한다. 특히 간신의 행태를 되돌아 보면 표리부동은 기본이고 자신의 사악함을 드러내는게 소시오패스에 해당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001711442863492.jpg)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간신은 바로 지도자가 리더십이 결여되어 있고 부하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며 소양이 부족한 암군(暗君)에게서 나타난다는 점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세종대왕 등 큰 업적을 거둔 왕의 주변에 간신이 있었다는 사례는 본적이 없다. 하지만 연산군 등 폭군의 주변에는 크고 작은 간신의 존재가 있음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간신을 소개하는 것은 바로 자신의 주변에 기웃거리는 이들의 언행을 가려 살펴야 할 때, 반드시 참고하라는 것이리라. 최고 높은 자리가 아니더라도 조직에서 중간관리자 곁에도 이러한 간신의 자질을 가진 부하직원들이 나타나지 말라는 법이 없을 것이다. 인재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이 책은 그런 인재를 바라보는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00171144286349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00171144286349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