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비우스 로마사 3 - 한니발 전쟁기 ㅣ 리비우스 로마사 3
티투스 리비우스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2월
평점 :
서양 고대사에서 로마사가 차지하는 부분은 절대적이다. 특히 오랜 기간 유럽의 정치, 문화, 사회, 역사 등 전분야에 끼친 영향은 이루 언급하기 어려울 정도다. 그만큼 대제국을 형성했고 흥망성쇠를 겪은 역사는 후세 많은 이들에게 매력적이고 또 극적이기까지 하다. 5현제의 시대가 있다면 네로, 칼리쿨라 등 제국의 근간을 휘청이게 한 폭군들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흥미롭고 또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 것은 바로 ‘한니발 전쟁’으로 표현되는 포에니전쟁, 정확히 2차 포에니전쟁이 아닐까 싶다.

포에니 전쟁은 지중해 패권을 둘러싼 로마와 페니키아의 속주 카르타고간의 운명을 건 일대 회전(會戰)이었다. 또 동시에 카르타고의 한니발과 로마의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라는 걸출한 두 명장의 싸움이기도 했다. 여기에는 왜 로마가 승리할 수밖에 없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도 있다. 로마 역사는 일본의 작가 시오노 나나미가 쓴 <로마인 이야기>를 통해 많이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오노 나나미는 역사학자가 아니다. 한마디로 많은 허점이 있는 서적이라는 것이다. 가장 좋은 것은 바로 동시대나 비슷한 시대를 살아간 이가 최대한 사실에 기술해 후대에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티투스 리비우스가 저술한 로마사는 상당한 기록물이자 후대 역사 연구에 있어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저서가 아닐 수 없다. 살루스티우스, 타키투스와 함께 로마의 위대한 3대 역사가로 꼽히는 그가 로마사를 150권까지 쓸려고 했지만 142권에서 생을 마감한 점은 그래서 아쉽기만 하다.

<리비우스 로마사Ⅲ - 한니발 전쟁기>은 제2차 포에니 전쟁을 주무대로 1차 전쟁에서 패한 복수에 나서는 한니발의 영웅적인 면모와 상대를 설득하는 웅변술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신출귀몰한 전술...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알프스산맥을 돌파해서 로마의 배후를 치고 남하하는 장면은 흥미진진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유려한 문체의 강약과 완급 조절은 마치 톨킨의 <반지의 제왕>처럼 판타지 소설을 접하는 듯한 기분도 들게 한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에서 로렌스 중위와 아랍민족이 누구도 예상치 못한 사막을 횡단해 터키의 거점 군사도시 아카바를 배후에서 치는 장면과 유사한 느낌을 갖게 한다.

특히 포에니 전쟁에서 가장 핵심적인 두 사건, 바로 칸나이 전투와 자마전투다. 특히 단 하루동안 5만명의 로마군을 몰살시킨 칸나이 전투는 왜 2차 포에니 전쟁이 한니발 전쟁으로 불리우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카르타고의 대승이자 동시의 로마에게는 재앙과도 같은 패전이었다. 반대로 자마전투는 칸나이 전투의 패배를 이겨내고 궁극적으로 카르타고를 지도에서 지워버리는 결정적 승리였는데 왜 로마가 제국으로 성장하고 오랜 기간 유럽을 호령했는지 알 수 있는 국력을 가늠할 수 있는 전쟁일 것이다.
이 책은 사실에 입각하지만 통사형태의 역사서처럼 건조하고 행간에 담긴 의미를 개별적으로 해석해야 하는 부담이 없는 책이다. 한니발의 행적과 아버지와 삼촌을 잃은 스키피오 부자의 반격은 흥미진진하다는 표현으로 그치기에는 너무나 부족할 것이다. 전쟁사를 좋아하는 매니아라면 반드시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