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 - 차별화된 기획을 위한 편집자들의 책 관찰법
박보영.김효선 지음 / 예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고 바쁜 일상에서도 독서를 놓치 않으려는 스스로에게 격려하는 요즘, 가끔은 불편한 부분이 있다. 하나의 돈벌이수단으로서 책쓰기를 권장하는 세태다. 물론 과격한 발언이고 시각임을 시인한다. ‘책쓰기가 문학적 소양이나 일정 수준 고학력자들의 전유물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를 알기 쉽게 풀어 써 타인들과 공유하는 수단이 책쓰기라면 그 자체로도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히가시노 게이고를 꿈꾸는지 모르지만 퀄리티를 유지하면서도 다작을 하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역량에 미치지 못하면서 포드식 분업체제 마냥 공업제품처럼 찍어 내는(?) 책쓰기는 여전히 불편한게 사실이다.

 

<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라는 책을 고르고 읽은 것은 이런 시각에서 볼 때 내 스스로 책을 쓰고 싶기 때문에 출판을 대행하는 업무를 맡는 편집자의 입맛에 맞는 책을 어떻게 써야할까에 대한 궁금증은 아니었다. 하나의 책이 나오기까지 어떤 초벌구이와 숙성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한 궁금증은 물론 구슬도 꿰어야 서말이듯 초보 저자가 갖고 있는 컨텐츠를 어떻게 책으로 잘 만들어 독자들과 연결시키는지 그 과정, 노력을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출판분야에 오랜 경험을 갖고 있는 저자들이 보는 독서 방법은 어떤게 좋을지 배워보고 싶었다.

 

이 책은 그런 접근 의도를 감안할 때 충분한 해답을 준다. 다듬어지지 않은 원석들이 어떻게 편집자들의 기획과 정제작업을 거쳐 훌륭한 책으로 거듭나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 주고 있으며 속독, 정독, 통독 등 책읽는 방법의 장단점을 설명해 주면서 내가 스스로 최적의 독서 방법을 고르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어렵고 불편한 책들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의 크기가 훨씬 더 커지고 넓어지는 계기를 준다는 부분은 기억에 남을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이 책의 출판의도와 다소 다른 의도로 읽게 되었지만 혹시 모를 먼 훗날 내가 갖고 있는 컨텐츠를 책으로 표현할 기회가 된다면 이 책이 작은 출발의 의미있는 첫 발을 내딛는데 도움이 되줄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