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나기를 위한 시원한 책읽기!

여름과 불꽃과 나의 사체 | 원제 夏と花火と私の死體 (1996)


오츠이치의 데뷔작과 초기 단편이 수록된 소설집.

아홉 살 소녀가 자신의 사후, 자신을 죽인 친구와 친구의 오빠가 어른들의 눈에서 자신을 숨기는 상황을 바라보는 모습을 묘사한 중편 소설이다.

: 기다렸던 단편집. 원서도 같이 구입해서 비교하는 스릴을 느끼면서, 함께 할 생각.

나는 숲속의 게으름뱅이 

2003년 여름부터 치악산 중턱의 화전민 터 흙집 움막에서 살아온 정용주 시인의 산문집. 낮에는 나무도 하고 텃밭에 농사도 짓고 토종벌도 기르며 생계를 잇고, 밤에는 시를 쓰는 생활에 대해 들려준다. 그는 자신을 '게으른 생활인'이라 칭한다. 그의 일기는 '놀이로서의 생활을 실험하는 어느 산쟁이'의 기록이다.

정용주 시인은 나이 40이 넘어 모든 것을 버리고 산 속으로 들어와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고 일하고 싶으면 조금 하고 싫으면 말고 하면서, 최소한의 것으로 굶어죽지 않으면서 제 멋대로 자연 속에서 뒹구는 행복한 삶이 그의 월급이다.

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2

국내 공포 소설 작가 9인의 단편 모음집. 빈부 갈등, 납치, 감금, 보복, 불륜, 인종 차별, 이웃간의 불화 등 현대 사회의 각종 부조리를 공포라는 장르를 통해 적나라하게 파헤친다. 출판을 비롯해 영화, 방송, 인터넷 상에서 주목받고 있는 공포 소설가들의 모임, '매드 클럽'이 내놓은 두 번째 앤솔로지다.

: 내면에 잠재된 공포가 주 키워드다. 심리 묘사 면에서, 주목할 몇 가지가 발견되었으면 바람을 품으면서 보관함으로 이동.

<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두 번째 작품집은 첫 번째 작품집에 이어 '한국적인 공포'를 다루고 있다. 첫 번째 작품집이 약간 '난도질'에 치우쳤다면, 이번에는 공포의 세계가 더욱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다. 공포의 다양한 세계를 화려하게 펼쳤다는 것만으로도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아쉬움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두 번째 작품집은 한국의 공포 문학은 물론 영화에도 더욱 의미 있는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대중문화의 기본은 일단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더욱 치밀하고 다양한 공포 이야기를, 계속될 <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에 기대한다. - 김봉석 (문화평론가)


독소소설 | 원제 毒笑小說 (1996) 흑소소설 | 원제 黑笑小說 (2005)


블랙 유머 소설. 미스터리 작가로 널리 알려진 히가시노 게이고와 웃음을 연결하는 일이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에 수록된 12편의 단편은 기발한 소재, 치밀한 전개, 유쾌한 반전으로 감탄과 웃음을 동시에 선사한다. 웃음 이면에 담긴 인간과 세상에 대한 통렬한 풍자는 날카로운 칼날이 되어 가슴을 찌른다.

: 어떤 영상의 블랙 유머가 담겼을까 궁금해진다. 예약주문을 하고 있던데, 조금 생각을 거치고 실행으로 옮길 생각이다. 여러 가지 소장하고픈 책들이 줄을 서고 있다.(울음)

 

철학 지도 그리기 - 18명의 대표 철학자와의 만남 | 원제 A Brief History of Philosophy (2006)

소크라테스에서 데리다까지, 대표적인 철학자 18명을 만나는 책. 철학의 산맥을 넘어 보겠다고 마음먹은 이를 위한 철학 입문서라 할 수 있다. 철학에 대해 돌려 말하지 않는 정공법을 택하면서도 효율적이고 명쾌한 정리를 하려 노력한 이 책은 입문자가 서양 철학사의 거시적인 흐름을 짚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 책 소개에서는 이렇듯, 어쩐지 너무 띄워주는 거 아닌가 싶을 정도로 설명을 해놓았는데, 반신반의하고 있다. 걸리는 것 없이 자연스럽다는 데 솔깃했다가, 18명의 이야기를 고루 담을 수 있었을까 싶다. 혹시 사전 사이즈인가 싶기도 하다. 매장에서 확인해야겠지만, 일단 보관함으로 이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