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대가 아프다 - 경향 특별기획보도
류인하 외 지음 / 위즈덤경향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아이가 중학생이다 보니 10대 아이들이나 교육관련 서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0대가 아프다는 지금까지 읽었던 교육서적과는 많이 다른 책이었다.
우선 학교라는 제도권에서 멀어진 아이들의 이야기와 평범하게 보이지만 안심할 수 없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을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었다.
이 책이 경향신문 특별기획 보도를 엮어 만든 책이다 보니 몇 가지 내용은 신문을 통해서 읽은 내용도 있는 것 같다.
10대 아이들의 자살 사건이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마음 아파하고 빨리 대책을 세워서 이 비극을 막아야 한다고 하지만 뚜렷한 대책은 쉽게 찾을 수 없는 것 같다.
정부의 대책은 형사 처벌 연령을 12살로 낮추고 좀 더 강력하게 가해자들을 처벌하라고 하고 있지만, 이 책속에 나오는 아이들은 가해자이면서도 피해자이다.
실제로 학교 폭력을 당한 피해 아이들이 가해아이가 되기도 하는 경우가 있고, 내 아이는 학교폭력의 희생자가 되면 어쩌나 걱정을 하지만 내 아이가 가해자가 될 수 있다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부모이다.
책을 읽으면서 제일 공감했던 글은 성장학교 별의 교장인 김현수 선생님의 글이다.
10대들을 향한 진정한 사과가 먼저라는 것이다.
우리 아이들을 이 지경에 빠지게 한 어른들이 먼저 아이들에게 사과를 하고 이 상황을 바로 잡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발전하면서 우리들은 획일화된 교육을 받으며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것이 경제성장을 하는데 도움이 됐을지는 모르지만,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가야할 세상은 지금과는 다른 세상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을 읽으며 책 속에 놀라운 이야기가 있으면 자꾸 아이에게 물어보게 된다.
우리 아이도 집에서는 절대 욕을 하지 않지만 친구들 끼지 있을때는 욕도 한단다.
그리고 아이가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사람은 부모라고 한다. 아이에게 가장 많은 비난을 하고 몰아부치는 사람 역시 부모이다.
나 또한 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부모라고 인정해야만 한다.
그렇게 하는 이유가 다 너를 위해서라고 한다. 우리가 10대 시절 공부하지 않고 놀았더니 지금 별로 잘 살지 못하니 내 아이는 공부 열심히 하게 해서 잘 살았으면 하는 마음이 큰 이유일 것이다.
나 역시 우리 아이에게 제일 많이 하는 말은 공부해라다.
시험기간이 코 앞인데도 핸드폰만 붙잡고 있는 아이를 보며 속이 터진다. 그래서 핸드폰을 뺏기도 하고 감정싸움이 그치지를 않는다.
아이들에게는 공부도 중요하지만 친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학교폭력에 시달리면서도 아이들은 신고하지 못하고 그 세계에 머무르려고 하고 있다.
부모가 아이들에게 공부만 닥달할 것이 아니라 아이와 자주 대화하고 친구간에 서로 문제는 없는지 내 아이가 왕따를 당하는지 아니면 왕따를 시키는 아이인지, 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아이가 힘들때 손 내밀 수 있는 부모가 되어 주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10대를 키우고 있는 부모라면 이 책을 읽고 우리 아이들이 왜 아파하고 있는지 어른인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