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재천 스타일 - 지적생활인의 공감 ㅣ 최재천 스타일 1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요즘 가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라는 노래가 미국과 세계시장을 휩쓸고 있다는 행복한 기사를 자주 보게 된다.
싸이가 성공한 이유가 자신만의 스타일을 제대로 사람들에게 보여줬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또 다시 최재천 교수의 책을 만나게 되었다.
최재천 스타일 [지적 생활인의 공감]이라는 제목의 책이다.
최재천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어떤 스타일을 보여줄까?
최재천 교수의 책은 과학자의 서재라는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다.
그 전까지 과학이나 과학분야의 책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고 궁금하지도 않았었는데, 그 책을 읽고 나서 부터 관심이 생겼다고 할까.
그리고 통섭의 식탁을 통해서 과학자의 서재에서 못다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최재천 교수의 수 많은 저서와 역서, 감수한 책들이 있었는데 무관심과 무지로 너무 늦게 알게 되었지만 지금이라도 내 지식을 폭을 한 뼘이라도 넓혀 줄 수 있게 되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최재천 스타일 역시 과학자의 서재, 통섭의 식탁과 비슷한 종류의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두 책을 모두 읽었다면 중복이 되는 부분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이야기한 두 책을 읽으면서 여기 소개 된 책을 꼭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쉽게 손이 가는 책들은 아닌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최재천 교수의 책을 읽으면서 반드시 하게 되는 건 소개 된 책을 검색해보게 된다는 것이다.
생소하고 어려운 주제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고 있어서 그나마 쉽게 과학분야의 책을 제목이나마 기억속에 저장하게 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우리에게는 낯선 단어인 통섭과 호모심비우스라는 단어를 처음 알게 해 준 것이 최재천 교수이다.
호모 사피엔스라는 지혜로운 인간 대신에 호모 심비우스라는 공생하는 인간이라는 단어는 요즘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큰 울림을 주는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지혜롭고 영악하고 똑똑한 사람들는 무수히 많지만 외톨이형 범죄자가 늘어나고 남을 배려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요즘 세상에 다른 사람과 어울려 살아가겠다는 자세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져야 우리 사회가 좀 더 인간적인 사회가 될 것이라는 데 동감을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문과와 이과를 분리하지 않는 것과 학능력시험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고 대학은 교유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고등학교 3학년을 연장해 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이야기에 공감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어려운 과학분야의 책을 그나마 쉽게 받아 들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어려운 내용의 책도 쉽게 설명해주고 거센 카리스마가 아니라 조용하고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대중의 마음 사로잡고 자신의 의지는 세우지만 세상과 소통하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는 것 이것이 최재천 스타일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