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의 추리 소설 두 편(애크로이드 살인사건,서재의 시체)을 읽는 동안 '진실' 과 '증명'이란 화두를 마주했다. 해서 또다른 책들을 찾아보다 제목에서 부터 '진실'이 들어간 책 발견.스토리도 흥미롭고 해서 전자책으로 구입했다.그러나 이런 책은 전자책보다 종이책으로 읽는 것이 훨씬 좋다는 결론을..(해서 도서관에서 엎어왔다.^^)
범인이 누구인지 누가봐도 알 수 있는 사건들이 일어난다.적어도 사건에 깊숙이 관여했을 것 같은 의혹은 충분하다.그러나,문제는 심증만 있을 뿐,물증이 없다는 거다.게다가 증거가 드러나려고 하면 그때마다 어김없이 진실 앞에 다가간 인물들은 살해 당한다.캐주얼한 느낌의 추리소설이란 느낌보다 그것이알고싶다 프로와 닮은 느낌의 소설이란 느낌을 받았다. 권력을 가진자가,힘 없는 자들에게 할 수 있는 형태가 여러 퍼즐조각으로 그려진다.읽는 내내 화가 좀 많이 난 이유일터.우리나라 거대기업들이 하는 짓도 이와 다르지 않을테니 말이다.1910년대 스페인의 시간적 배경은 그러니까 큰 의미가 없는 것일수도 있겠다.오히려 그때나 지금이나,서양이나,동양이나 가진자들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게 하는 힘이란 것이 무섭다는 느낌을 받게 했을 뿐이니까.그런데 이야기는 권력을 가진 자들만이 문제가 아니라 배신과 변절을 수없이 하는 기생충 같은 네메시오 같은 인물도 있다는 사실을 그린다.이럴때면 어김없이 80이 20에 지배당하는 구조가 변하기 어려운 이유가 보여 답답해진다.그런데 소설은 또 너무 흡인력이 있어 잘 읽혀서 놀라고...그알(그것이 알고 싶다)에 가까운 소설이었지만 추리적인 장치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서 두 번의 반전에 맙소사..했다.적어도 소설 후반까지 르프랭스와 코르타바녜스의 관계가 생각보다 깊은 이유를 고민하지 않았다.그런데 르프랭스의 죽음마저도 물음표가 따라오게 할 줄이야.자살인가,타살인가,...그리고 또 하나,소설에서 유일(?)하게 긴장감을 느끼게 했던 법정 신문 묘사가,사볼타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과정에만 오로지 집중된 것인 줄 알았는데..아니었다ㅡ는 사실이 놀라웠다.물론 소설을 다 읽기 전까지 눈치채기 쉽지 않았을지 모른다는 변명도 해보지만.뻔한 듯 뻔하지 은 구조로 씌여진 이야기란 생각을 했다.다시 그알느낌으로 돌아와 생각해 보면,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을 어째서 미란다만 몰랐을까..에 대한 질문이 따라왔다.결국,미란다처럼 이상주의자로 머무는 것이 세상을 구원할 수 있는 유일한 탈출구가 아닐수 있다는 생각. 그러니 막연한 희망을 품기 이전에 정신 바짝 차리는 것 부터가 중요한 것일지도...
민음사 고전 계속 읽기를 잘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했던 책이다.그럼에도 이 책은 비교적 늦게 읽었다. 왜 읽게 되었는지도 알겠고, 스토리 전개도 대충 알겠다.비교적 최근에 읽은 책이라서.제르미날 덕분에 다시 소환(?)된 기념으로 재독해 볼 생각이다. 스포일러를 대략적으로 알고 읽어도 잘 읽혀질지도 궁금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