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비싼 독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35
메리 웨브 지음, 정소영 옮김 / 휴머니스트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값비싼 독>을 읽으면서 최소 7번 놀란 것 같다. 영화도 아닌데,나도 모르게 허걱..하는 순간들이 예고없이 찾아온거다. 그때마다 '값비싼 독'이란 이야기에 감탄했다. 처음의 놀라움은 이 소설 가운데 가장 약한 놀라(?)움에 속할 정도라는 생각을 했다. 50페이지 가량 넘어간 순간에게 소설의 화자가 장애를 가진 여성이란 사실을 알았다. 이전까지는 눈치채지 못했다. 느닷없이..커밍아웃 하는 듯한 기분에 놀랐고..비로소 그녀의 오빠가 동생을 결코 결혼할 수 없음을 강조하는 이유를 알았다. 다음으로는 기디언의 '벼락' 같은 기질이 아버지를 죽음으로 몰아갔다는 사실에 놀랐다.그러고 보니 3번째 놀라움이라 할 수 있는 비가일디가 저지른 화재..(그러나 소설 후반으로 가면서 나는 비가일디가 저지른 일이 아닐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심이....) 는 놀라움의 경중이...높지 않다고 볼 수 도 있을지 모르겠다.무튼 벼락같은 기디언이 저지른 천륜(어머니에게 가한)은  숨쉬기 버거울 정도로 놀라운 충격이었다. 도저히 멈출 수 없는 그의 기운이 결국 잰지스의 자살로 이르게 만들었다. 그렇게 벼락같은 기운을 쏟아내고 나서 그에게 찾아온 휴식(?)은 미쳐버리는 것일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 그런데 프루 시른이 바라본 그의 죽음에 대한 해석이 나를 또 놀라게 만들었다.(휴식이라고 생각하게 만든) "그런 속박이라고는 없는 너른 공간을 차지하고 자기 농장과 자기 숲에 둘러싸인 호수의 요동치는 물결 속에서 마음대로 유영하는 게 맞는 것 같았다"/409쪽   조금은 무거워 보이는 표지와 낯선 이름의 작가라는 선입견이 시리즈7편 가운데 읽기 가장 어려울 거란 예상과 달리 흥미로웠다. 마술적인 느낌도 전혀 없을 뿐더러..장애를 가지고 있는 여성이 사랑에 대해 어떤 마음을 갖고 있는지가 절절하게 다가왔다..해서 사랑에 관한 이야기일거라 생각했는데..어느 순간 '마녀사냥'에 관한 이야기로 봐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했다. 비가일디가 불을 저지른 거라 생각했다.그리고 정말 그가 했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 소설 처음에는 그다지 주요인물이 아니었는데.. 어느 순간 마녀사냥을 조장하는 교회지기의 딸이..어느 순간 기디언 보다 더 무섭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내게 얼마나 겁을 줬는지 농장 근처에도 가지 못했어요.나를 때리기까지 했죠.전 마녀인 그녀가 무서웠어요.자기가 사른의 안주인이 되려고 했던 거예요.누구든 끼어드는 걸 못 견딘 거죠.그래서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는 보세요!(...)저 여자만 아니면 내사 사른의 아내가 되었을 거예요.저 여자는 마녀라 너무 힘이 세요!"/418쪽   안 그런 경우도 있을 수 있겠지만..누군가 마녀라고 외친다면 그렇게 말한 자의 입을 더 의심해야 한다는 생각을 곱씹어 하게 되었다. 400페이지 가량 읽으면서 전혀 지루하지 않았다. 밝은 이야기라고만는 할 수 없지만..오늘날도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 마녀사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해서 신데렐라 처럼 끝나는 결말조차 상투적이라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세상에는 프루 사른의 진짜 모습을 바라보는 이도 분명 있을 거란..믿음의 메세지로 읽혔기 때문이다."슬픈 얘기는 이제 그만(...)"/4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의 효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값비싼 독'을 읽고 나서 꺼내 들은 책 <부영사> 에서

프루 시른..에 대한 느낌을 표현한 문장을 발견한 것이 신기했다.

다 읽어낼지..는 모르겠으나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프루 시른에 대한 느낌을 만나는 건 묘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값비싼 독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35
메리 웨브 지음, 정소영 옮김 / 휴머니스트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하게 보일수 있는 결말이라. 평범하게 보이지 않게 다가온 매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개츠비>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콜레라 시대의 사랑>을 읽게 되겠구나 싶었다.개츠비와 플로렌티노 아리사 가 만나 '사랑'에 관한 대화를 하게 된다면 사랑에 대해 어떤 대화가 오고 갈 것인지 나도 모르게 상상을 해 보았기 때문이다.개츠비의 사랑도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사랑도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어서였을수도 있겠지만 발렌타인데이 선물로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 뽑히는 이유는 분명히 알 것 같다.(적어도 1권을 마무리 하는 시점에는 그렇다) 이 느낌은 3년 전에 읽었을 때도 비슷한 느낌이였는데.. 신기하다.^^


 

애증의 세월을 함께 한 남편이 죽던 날 그녀(페르미나 다사) 는 오래전 연인과 다시  만나게 된다.그 해후의 시간은 무려... 51년 9개월하고도 4일 ! 그녀를 사랑했으나 버림 받게 된 이후(플로렌티노 아리사 입장에서 보면 그렇지 않을까?) 남편이 죽기만을 기다린 것처럼 되어 버린 상황.그러나 그남자는 눈치없이 남편의 죽음으로 고통스러운 그녀에게 위로가 아닌 사랑을 고백하게 된다. 개츠비 만큼의 오만함 (데이지가 오로지 자신만을 사랑했을 거란 착각)은 없었지만 눈치가 없기는 아리사도 마찬가지였던 걸까? 오로지 해바라기 한 그녀를 오매불망 기다렸으니 이제는 그녀와 사랑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거다.청춘 시절 그녀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았던 건 자신이 싫어서라기 보다는 다른 이유에서 어쩔수 없는 선택이였을 뿐이라고 믿고 싶었던 걸까? 한 여자를 향한 개츠비처럼 무대뽀 식의 사랑도 불편하지만 한없이 소심한 이 남자의 사랑도 그녀 입장에서 보면 답답하긴 마찬가지 아니였을까?  소설에는 다양한 '사랑'이 등장한다.


한 사나이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한 여인의 이야기 부터.(그남자의 자살(안락사)을 당당히 인정해 주는) 사랑에 그저 속앓이 하는 페르미나 다사의 사촌 그리고 그녀 아버지의 사랑과 페르미나를 향한 다양한 사랑의 이야기까지.언뜻 보면 페르미나 다사와 우르비노 박사의 사랑이 가장 이상적인 것처럼 그려진다.그러나 과연 그럴까? 잘 모르겠다 남편이 죽는 순간이 되어서야 빈자리를 느끼게 되는 것이니 적어도 함께 살아가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한 애정을 느끼지 못했던 건 아닐까? 이 부분이 없었다면 그래도 나름 행복한 부부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었겠지만 뒤늦은 후회..가 가슴을 아프게 만든다. 해서 전쟁같은 애증의 세월을 보내고 (적어도 그런 세월이라 생각하며 살아 왔을 터) 막상 우르비노 박사가 죽게 될 때 의 묘사란 ...가슴에 찬바람이 이는 것만 같다. 죽는 순간 아내를 마지막 까지 볼 수 있기를 소망하고..아내는 남편을 향해 달려가는 그 순간까지 만이라도 살아 있기를 바라지 않던가? 사랑이란 어쩌면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서 느껴야 하는 것들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행복처럼 말이다.화려하고 멋진 오로지 나만을 위한 사랑을 우리는 동경하지만 일상에서 수없이 지지고볶는 가운데 피는 사랑(그것을 사랑이라고 정의 내린다면..그렇다)이 훨씬 단단한 것일지도 모르겠다.그러나 우린 그것이 사랑이란 생각을 잘 하지 못하면서 살고 있는 것 같다.사랑의 증상이 콜레라의 증상과 같다고 하는 말은 그래서 더 아프다.뭔가 현실적이지 않을때만이 사랑이라 믿고 싶은 건 아닐지.오히려 신기루 같은 사랑이 가공의 사랑일텐데.개츠비도,플로렌티노 아리사도 신기루와 같은 사랑만을 쫓았기 때문에 힘들었던 건 아닐까? 그런데 사람들은 여전히 사랑은 잡을수 없는 곳에 있는 무엇이라 생각하는 것 같다 처음 읽었을 때는 우르비노 박사가 제일 눈에 크게 들어왔는데..이번에는 그녀와 그남자의 사랑이 조금 더 크게 눈에 들어온다.



 우즈이브스를 향한 프루의 마음을 보면서 나도 콜레라시대의..사랑이 다시 읽고 싶어졌다. 예전 리뷰를 꺼내 보니..개츠비가 콜레라..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웃음이 났다..'사랑'에 대해 각자 할 이야기가 얼마나 많을까..아직 값비싼...을 다 읽은 건 아니지만..그녀의 사랑이 가장 멋진 사랑처럼 보이는 건...왜일까 그녀가 소심한듯하면서도 당당한 용기를 보이는 순간이 있어서였을까..아니면 그녀의 진실한 마음을 우즈이브스..도 잘 알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서였을까... 



‘내가 올 때 뭘 보고 있던 거예요?"그가 물었다.
"허물 벗고 나오는 물잠자리요"
"한번 나오면 영원히 나오는 거죠"그가 말했다."자유로워지려면 많은 걸 감수해야 해요.하지만 일단 나오면 그 이후로는 날개를 절대 접지 않아요"/2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