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자왕 형제의 모험 (1973 초판본 에디션) -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장편동화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김경희 옮김, 일론 비클란드 그림 / 창비 / 2025년 4월
평점 :
오랫동안 읽지 못했던 <작별하지 않는다>를 3월에 읽었다.4월을 맞이하면서 읽어야 할 것 같아서.그런데 알라딘에서 어떤 이벤트가 있었던 모양이다. 일만원의 적립금이 들어왔다. 해서 한강작가님이 추천해준 동화책을 읽으라는 뜻(?)같아, 망설임 없이 <사자왕 형제의 모험>을 주문했다. 5월이니까...
"나는 무엇 때문에 요나탄 형이 그처럼 위험한 일을 해야 되느냐고 물었습니다. 기사의 농장 벽난로 앞에 앉아 편안히 살면 안 될 까닭이 뭐란 말입니까? 그러나 형은 아무리 위험해도 반드시 해냐야 되는 일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람답게 살고 싶어서지. 그렇지 않으면 쓰레기와 다를 게 없으니까"/85~86쪽
환타지스러운 이야기는 아닐거라 예상 했지만, 생각보다 너무 단호(?)한 이야기라 읽는 내내 마음이 복잡했다. 너무 어른 시선으로 읽어서 그런걸까, 아니면 세상 돌아가는 모습이 너무 이상해서 그랬을까... 모르겠다. 지금 우리는 사람답게 사는 방법에 대해 저항과 분노와 용기를 가르치는 걸 망설인다. 남들보다 더 많이 배워서 더 부자가 되는 것이 사람답게 사는 것이라 가르치고 있는 것 같아서.여전히 광장에서 아이와 함께 촛불을 드는 어른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그러고 싶지 않은 어른 사람도 있다. 아이들에게만은 희생하는 삶을 강요하고 싶지 않은 마음... 얼마전 보게된 네오소라 감독의 영화 '해피엔드'가 생각났다. 저항과 순응! 순응하는 삶이 무조건 나쁜가? 그러나 저항하지 않으면 순응하는 삶이 허락(?) 될까.... 선뜻 아이들과 이 책을 읽게 된다면 나는 어떤 말을 해 줄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는 건 내가 조금은 방관자처럼 살고 싶은 소망이 있어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헌재판결 방송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고,토론하는 문화가 자리잡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아이들에게 저항의 정신을 가르치는 것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영화 이야기를 다시 하자면, 아이들을 통제하기 위해 감시시스템을 도입했는데, 그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고 교장과 충돌하는 장면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모험의 장소가 시작된 곳 부터가 충격적이었는데,오히려 그 덕분에 이야기처럼 읽어낼 수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권력을 마구 휘드르는이에게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가를 배웠다. 싸우다 죽게된 이들도 잊지 않아야 하고,결국 정의는 승리하게 된다는 가치까지..동화라서 해피앤딩의 결말을 준 거라 생각지 않는다. 사람답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한 이야기였다고 믿고 싶다.
그리고 이제 나는 오랫동안 읽지 못했던 <소년이 온다>를 읽어볼 생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