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 야상곡 ㅣ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안토니오 타부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줄리언 반스 덕분(?)에 <페레이라가 주장하다> 를 읽었다. 물론 반스선생께서 적극 추천해서는 아니었다. 이야기가 궁금했던 반, 작가 이름이 궁금했던 거 반..그랬다. 그런데 홀딱 반했다. 한 권 읽고 호들갑인가 싶어.. <다마세누 몬테이루의 잃어버린 머리>를 읽었다. 앞서 읽은 것 보다 더 좋아서,나는 이제 진짜..안토니오 타부키의 팬이 되어야 겠다 생각했다. 해서 선집 가운데 <인도 야상곡>을 골랐는데, 앞서 읽은 두 편 보다 더 좋았다. 두서 없이 골랐는데, 고른 책마다 모두 마음에 든 것도 흔하지 않지만, 점점 더 작가가 좋아지는 경험은...정말 오랜만인 것 같아, 새삼 알라딘 신간 코너에서 계속 나를 유혹했던 '문학의 쓸모'를 챙겨 보고 싶은 마음까지 생겼다.
타부키의 선집 <인도야상곡> 6편을 먼저 고르게 된 이유에는,인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볼 생각을 하고 있던 터라 고르게 되었다. 어떤 연결고리가 혹 보이지는 않을까 하고..(그런데 있었다^^) 물론 타부키의 선집 전부를 읽어볼 생각이긴 하지만. 무튼 묘하게 연결고리를 만나는 지점이 있어 재미났고, 뭔가 조금은 고요하게 읽어야 할 지점들에서,재미가 느껴지다 보니, 조금은 들뜬 기분으로 읽게 되었다. 환상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아도 재미가 느껴지고, 현실적인 맥락으로 상상해도 짜릿했던.. 사라진 친구를 찾아 인도를 찾았다. 이것부터가 사실 굉장하다. 가족이 아닌 이상, 인도에서 사라진 친구를 찾기 위해 나설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해서... 그런데 어느 순간 그가 찾고 있는 것이 친구인지, 나를 찾기 위해 인도 여행을 하고 있는지 기준이 모호해진다. 나도 나를 찾을수 없는데, 내가 누굴 찾을수 있을까.그러면서 작가는 슬쩍 자신이 찾고 싶은 것 가운데 하나는 확실히(?)알려준다.문학!!
"옛날에 잃어버린 어떤 것을 움켜잡고 싶은 거겠지요. 어쨌든 그 사람은 자기 자신을 찾고 있어요.말하자면 마치 자기 자신을 찾는 것처럼 나를 찾고 있는 겁니다. 책들을 보면 그런 일은 숱하게 일어나지요.그게 문학입니다"/ 108쪽
애초에 사라진 남자는 없을지도 모른다. 모든 것이 작가의 상상에서 시작된 거란 의미다. 이런 소설을 써본다면 어떨까..하고... 놀라운 건, 작가가 만들어낸 소설을 읽는 기분도 들고, 진짜 잃어버린 친구를 찾아 인도의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 느낌도 들었으며, 단편이 주는 매력(반전)을 슬쩍..넣어준 느낌도 받았다. 사라진 친구를 찾아다닌 것이 아니라, 사실은 내 존재를 찾아 다닌 거라고. 이런 느낌은 모두 문학이 주는 매력에 빠져 흥분한 마음으로 읽었기 때문에 보이게 된 것들인지도 모른다. 정말 고뇌에 찬 남자의 모습으로 인도를 따라 다녔다면 마음은 결코 가볍지 않았을테니까 ..그러나 지금은 그냥 그가 풀어낸 이야기의 매력에 빠져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