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베르나노스와 모리아크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좋아하니까요.하지만 작가 선정에 관한 한 당신에게 전적으로 결정을 맡기겠습니다"/30쪽 분명 소설인데, 내가 알고(?)있는 작가들의 이름이 등장하는 것 같아(동명이인이 아니라면) 검색해 보고 싶었다. 모리아크 이름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럴수도 있다.


2023년 모리아크의 이름은 엔도 슈사쿠의 <깊은 강>을 읽다가 알게 되었다.작품에서 반복적으로 프랑스아 모리아크의 <테레즈 데케루>를 언급했고, 도저히 지나칠수..가 없었다. <깊은 강>에 그려진 미쓰코라는 인물이 끝임없이 테레즈라는 인물과 동일시하는 묘사는..읽는 독자로 하여금 호기심을 불러오게 만든다. 얼만큼 비슷할까..부터 시작해서, 엔도 슈사크는 이 소설에 왜 그렇게 끌렸던 걸까... 등등 예전 기록을 찾아 보면서,베르나노스의 책이 궁금해졌다. 모리아크와 마찬(?)가지로 뭔가 작가에게 끌리는 것이 있었을 것 같아서...줄리언 반스의 <사랑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를 읽다가 안토니오 타부키의 작품을 읽게 되었으니, 이제 베르나노스의 책을 읽어봐야 하지 않을까..










딱 한 번 언급되었다면 덜 궁금했을 텐데, 베르나노스의 이름은 이후에도 언급된다. "저,안토니우 신부님,페레이라가 말했다. 저는 <리스보아>문화면에 <<어느 시골 사제의 일기>> 한두 장을 실을 계획입니다.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멋진 생각인 듯한데 안토니우 신부가 대답했다.하지만 그걸 싣게 해줄지 모르겠군,베르나노스는 이 나라에서 많은 사랑을 맏은 작가는 아니네(...)"/132쪽


그런데 정말정말 읽고 싶은 책 1순위는 이번에도 발자크선생이다. <고리오영감> 말고는 온전하게 읽어낸 책이 없는데, 단편이라면,읽을수 있지 않을까..꼭 극찬을 해서 그런건 아니다.









"페레이라는 발자크의 단편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그는 <오노린>을 선택했다. 회개에 관한 이야기고 서너 번 연재로 나갈 예정이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페레이라는 그 회개 이야기가 누군가 집을 병 속의 메세지가 되리라고 믿었다. 왜냐하면 회개할 많은 것들이 그 이야기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회개에 관한 이야기가 필요했다(....)"/68쪽 전자책으로 나와 있다는 것이 반갑긴 한데, 페이퍼 단편집이 나오면 읽어 볼 생각이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단편집을 검색해 보다가..






프랑스편을 꺼내 보고 깜짝 놀랐다. 모파상, 발자크,베르나노스 가 보인거다. 한참 재미나게 읽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프랑스 편만 리뷰를 남겨 놓지 않았다는 것도 신기한 일.. 해서 이번에 세 작가님의 단편을 읽어 볼 생각이다. 줄리언반스에서 시작된 읽기는  안토니오 타부키로 다시 프랑스 작가들로 이어질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